상임위 국감마다 "김건희"…여야 주도권 싸움 팽팽
야당, 상임위마다 김 여사 의혹 제기
행안·법사·문체위 등 곳곳서 충돌
국힘, '이재명 사법리스크' 맞불
내달 1일까지 치열한 신경전 전망
야당이 ‘김건희 여사 총력전’을 예고한 대로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시작된 7일 상임위원회 곳곳에서 김 여사 의혹이 화두로 올랐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날 시작된 국감은 내달 1일까지 26일간 17개 국회 상임위에서 피감기관 802곳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이날은 법제사법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정무위원회 등 10개 상임위에서 국감이 진행됐다.
야당은 김 여사 의혹을, 여당은 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를 앞세우며 각 상임위에서 정면충돌했다. 우선 행안위 국정감사에선 야당은 한남동 대통령 관저 공사에 참여한 업체인 ‘21그램’의 김태영·이승만 대표에 대한 동행명령을 단독 의결했다. 21그램은 대통령실 관저 공사에 수의계약을 참여한 인테리어 업체로, 과거 김 여사가 운영했던 전시기획사 코바나컨텐츠 후원업체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인 바 있다. 21그램 김 대표와 이 대표는 이날 국감에 대통령실 불법 증축 의혹 관련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불출석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들 출석 없이는 국정감사를 할 수 없다며 동행명령을 의결했고,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에 반발하며 회의장을 퇴장했다. 민주당 소속 신정훈 행안위원장은 “김 대표와 이 대표가 출석 요구서를 회피하고, 어떠한 소명도 없이 국감 출석을 거부하는 대단히 잘못된 행동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행안위 야당 간사인 윤건영 의원은 야당 간사인 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무엇이 두려워 21그램 대표를 감싸려고 하는지, 김 여사가 두려운 것인지 대단히 안타깝다”고 말했다. 여당 간사인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은 “인테리어 업체 대표만 동행명령장을 발부하는 것은 과한 측면이 있다”면서 “다수당이 대통령실 관련 증인 동행명령만 밀어붙이는 것이 굉장히 안타깝다”고 목소리 높였다. 이날 행안위 국감은 이처럼 여야 대치가 이어지면서 시작 1시간 30분 만에 중단되기도 했다.
문체위 국감에도 야당은 김 여사 관련 의혹을 제기했다. 야당 의원들은 이날 문체위 국감에서 지난해 10월 김 여사의 KTV 국악 공연장 방문을 두고 “김 여사가 황제관람을 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한 언론은 KTV가 지난해 10월 31일 무관중으로 진행한 국악 공연을 김 여사와 소수 인원이 관람했다고 보도했다. 민주당 이기헌 의원은 “황제관람은 범죄행위”라며 “문체부도 동조한 공범”이라고 목소리 높였다. 문체부 유인촌 장관은 이에 “저는 김 여사가 공연장에 늦게 왔다고 당일 밤에야 전화를 받았다”며 사전에 방문 사실을 몰랐다고 해명했다. 국민의힘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를 거론하며 맞받았다. 김승수 의원은 “야당에서 황제관람이라고 매도하는데 황제 의전의 끝판왕은 김정숙 여사의 인도방문 아니냐”고 말했다.
이날 법사위 국감에서도 김 여사가 수 차례 언급됐다. 민주당 김용민 의원은 김대남 전 선임행정관이 SGI서울보증에 취업한 것을 두고 김 여사에게 ‘후보자 매수죄’가 성립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여당은 이 대표 때리기에 집중하며 역공을 펼쳤다. 국민의힘 곽규택 의원은 “거대 야당 대표라는 이유만으로 이렇게 재판을 지연해도 되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이 대표 재판 지역 문제를 부각했다. 같은당 장동혁 의원 역시 “이 대표의 선거법 위반 혐의 관련 재판을 서둘러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 대표가 불법 대북송금 사건과 관련해 재판부 변경을 요청한 것을 두고는 “이런 사례는 한 번도 본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여야 간 충돌은 내달 1일 국감 일정 마지막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동훈 대표는 전날 당내 의원 만찬 회동에서 참석자들에게 “(김 여사 의혹과 관련해) 상황을 지켜보며 대응하자”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국감 이후 여론을 살핀 뒤 김 여사 문제 등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