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부진에 역대 최대폭 줄어든 40대 소득
지난해와 비교해 13% 줄어들어
고금리·신생 사업자 원인 꼽혀
경제의 ‘허리’에 해당하는 40대 가구의 3분기 사업소득이 통계 집계 이래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상품 소비가 부진해지면서 도소매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40대 가구가 큰 타격을 맞았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3분기 40대 가구의 사업소득은 107만 4000원으로 1년 전보다 16만 2000원(13.1%) 감소했다. 통상적으로 경제가 성장하면 사업소득도 어느 정도 늘어나게 마련인데 13%나 줄어든 것은 매우 큰 폭의 하락이다. 또 이는 가계동향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소득 수준 자체도 3분기 기준으로 코로나가 크게 유행하던 2021년(105만 1000원)과 비슷한 수준으로 후퇴했다.
이처럼 사업소득이 특히 40대에서 부진한 배경으로는 도소매업 등 상품소비 중심으로 내수부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1∼10월 기준 40대 자영업자 115만 2000명 중 도소매업 종사자가 20.2%로 가장 많았다. 40대 자영업자 중에는 직장을 그만두고 사업을 시작한 지 얼마 안된 경우도 많아 상대적으로 사업이 안정된 50대보다 고금리와 내수부진에 더 취약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상품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 지수는 2022년 2분기부터 올해 3분기까지 10개 분기째 줄고 있다.
한편 3분기 소비에서 의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소로 떨어졌다. 3분기 의류·신발 지출은 11만 4000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6% 감소했다. 전체 소비지출에서 의류·신발 비중은 3.9%로, 역대 가장 작은 수준이었다.
늦더위가 이어지면서 가을 옷을 사지 않고 바로 겨울 옷을 준비하려는 경향이 3분기 옷소비를 줄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상품과 서비스 소비 가운데 상품소비가 금리에 더 민감하다”며 “고금리 영향으로 자동차 가구 의류 등 상품소비가 부진하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