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 ‘초읽기’… ‘물류 대란’ 비상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화물연대 총파업을 하루 앞둔 6일 오후 국내 최대 수출입 물동량 처리장인 부산항 하늘 위로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화물연대 총파업을 하루 앞둔 6일 오후 국내 최대 수출입 물동량 처리장인 부산항 하늘 위로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화물연대가 일몰을 앞둔 안전운임제 유지를 요구하며 7일 전면 총파업 돌입을 선언했다. 국토교통부와 부산시 등도 ‘경계’ 단계를 발령하면서 '물류 대란' 대응에 나섰다.


7일 0시 기해 파업 돌입 선언

정부·부산시 ‘경계’ 위기경보

비상 운송수단 투입 등 대응 나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는 오는 7일 0시를 기해 전면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총파업에는 화물연대 조합원 1500여 명과 화물차량 1500여 대가 동원된다. 부산 강서구 부산항 신항에서 7일 오전 10시 열리는 총파업 출정식을 시작으로 조합원들은 북항 등지로 흩어져 총파업 결의대회를 개최한다. 화물연대 조합원들은 이날 오후 5시 부산신항에 다시 결집해 집회를 연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안전운임제 전면 확대 △화물 노동자 산재보험 전면 적용 △명의신탁제(지입제) 폐지 △화물운송료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화물연대는 최근 유가(경유가) 상승으로 운임이 크게 높아져 조합원들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만큼 새롭게 출범한 정부가 이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요구한다.

정부와 화물연대 간 협상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파업이 현실로 다가오자 국토교통부와 부산시 등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 어명소 국토부 2차관은 6일 오후 4시 정부세종청사 국가교통정보센터 상황실에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대비 비상수송대책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국토부 해양수산부 경찰청 등 기관별 비상수송대책을 집중 점검했다. 어 차관은 “그간 정부가 화물차주의 근로여건 개선과 화물운송사업 구조개혁 방안 등에 대해 화물연대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협의해 왔음에도 집단운송거부를 강행하는 것은 유감”이라면서 중앙수송대책본부의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했다.

해수부는 비상수송대책으로 군위탁(100대), 지방국토관리청(21대) 등 관용 컨테이너 운송 화물차를 부산항 등 주요 항만 등에 투입하고, 필요시 부두 내 이송장비인 야드트랙터가 부두 밖으로 임시 운행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부산시는 물류 비상 상황에 대비해 총괄반·홍보반·수송반 3개 반으로 구성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중심으로 향후 파업 상황에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