努力(노력)으로 獨立爭取(독립쟁취) 不遠(부원) 平和裏(평화리)의 記念式(기념식)을 確信(확신)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무초 大使(대사) 記念祝辭(기념축사)



【釜山(부산) 一日(일일) 發(발) USIS】 駐韓(주한) 美國大使(미국대사) 貿草(무초)씨는 三一獨立宣言(삼일독립선언) 記念日(기념일)에 際(제)하여 全文(전문) 다음과 같은 祝辭(축사)를 보내었다

三二年(삼이년) 前(전)의 오늘 韓國(한국) 國民(국민)을 代表(대표)하는 三三名(삼삼명)의 愛國志士(애국지사)는 韓國(한국)이 獨立國(독립국)임과 韓國民(한국민)이 獨立民族(독립민족)임을 宣言(선언)하는 새로운 歷史的(역사적)인 文書(문서)를 日本(일본) 當局(당국)에 手(수)□하□읍니다

그 宣言文(선언문)은 「世界(세계) 万邦(만방)에 告(고)하여 人類(인류) 平等(평등)의 大義(대의)□ 克明(극명)하여 此(차)로서 子孫萬代(자손만대)에 고하여 民族(민족) 自存(자존)의 正權(정권)을 永有(영유)케 하노라」라고 말하였읍니다 이 文句(문구)는 今日(금일)에 있어서도 適合(적합) 無(무)□한 바가 있읍니다 一九五(일구오)○年(년) 六月(육월) 二十五日(이십오일) 그리고 그날로부터 始作(시작)해서 韓國(한국)의 男女(남녀) 靑年(청년)은 그들이 오늘날에 있어서도 一九一九(일구일구)□과 같이 自由(자유)와 獨立(독립)에 對(대)□ 천賦(부)의 權利(권리)를 戰取(전취)할 決意(결의)□ 굳게 하고 있다는 것을 全世界(전세계) 앞에 證明(증명)하였던 것입니다

全世界(전세계)의 自由(자유) 愛好(애호) 國民(국민)을 支配(지배)코저 하는 勢力(세력)□ 依(의)□여 □成(성)되고 支持(지지) 받은 公公然(공공연)한 侵略(침략)에 對(대)해서 그들은 □敢(감)한 抵抗(저항)을 全開(전개)하여 이□ 挫折(좌절)시키고 말았읍니다 그들의 勇敢(용감)한 저抗(항)을 通(통)하여 韓國(한국)은 抑壓(억압)과 □□에 對抗(대항)하는 正義(정의)의 象徵(상징)이 되었읍니다 斷乎(단호)한 □結(결) □抗(항)을 表(표)함으로써 新生(신생) 韓國民(한국민)□ 自由世界(자유세계)의 讚嘆(찬탄)을 一身(일신)에 받았으며 이로 因(인)하여 UN은 諸會員國(제회원국)의 集團的(집단적) 侵略(침략) 對抗(대항)의 決意(결의)□ 表明(표명)할 수 있게 되었읍니다

一夜(일야) 中(중)□ 五十三個(오십삼개) UN 會員國(회원국)□ 韓國(한국)에 있어서의 英雄的(영웅적) 저抗(항) 是認(시인)하였으며 十四個國(십사개국)이 □를 支持(지지)하여 그들의 靑年(청년)을 派遣(파견)해서 勇敢(용감)한 韓國(한국) 靑年(청년)과 어깨를 나란히 하여 外國(외국) 共産主義者(공산주의자)의 奴隸化(노예화)란 威脅(위협)에 對抗(대항)케 하였읍니다 이것은 一九一九年(일구일구년) 三十三名(삼십삼명)의 愛國志士(애국지사)가 孤獨(고독)한 運動(운동)의 先鋒(선봉)을 擔(담)□□ 그 當時(당시)□터 흘러오□ 悠久(유구)한 웨침입니다 UN 憲章下(헌장하) 一致團結(일치단결)한 自由世界(자유세계)는 侵略(침략)이 □行(행)되면 何處(하처)를 莫論(막론)하고 이에 能(능)히 對抗(대항)□ 수 있고 또 對抗(대항)할 것이라는 것을 行動(행동)으로써 證明(증명)하고 있읍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鬪爭(투쟁)과 今世紀(금세기) □頭(두)의 鬪爭間(투쟁간)에는 悲劇的(비극적)인 差異點(차이점)도 있읍니다 當時(당시) 韓國人(한국인)은 中國人(중국인) 中(중)에 同情的(동정적)인 隣人(린인)을 갖고 있었읍니다 그리하여 韓國(한국)의 勇敢(용감)한 愛國者(애국자)들이 不得已(불득이) 祖國(조국)을 脫出(탈출)하지 않으면 안 되었을 □에 그들은 中國(중국) 內(내)에 安息處(안식처)를 찾을 □ □었든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中國(중국) 共産黨(공산당) 指導者(지도자)들□ 戰爭(전쟁)에 疲勞(피로)한 中國(중국) 人民(인민) 大部分(대부분)을 □隸的(예적) 共(공)□ 帝國主義下(제국주의하)□ 征服(정복)한 後(후) 外國(외국) □典(전)의 寵愛(총애)□ 더 받기 爲(위)하여 銃劍(총검)으로써 隣邦(인방)의 獨立(독립)을 强奪(강탈)하□ 하고 있는 것입니□ 우리들은 現在(현재) 모두 勝利(승리)를 安(안)□한 값으로는 얻을 □ 없다는 事實(사실)에 □面(면) 하□ 있읍니다 韓國(한국)은 其他(기타) UN 會員國(회원국)□ 더부러 自(자)□의 偉大(위대)한 價値(가치)를 잘 알고 있읍니다

寒國(한국) 國民(국민)은 그들이 不可避(부가피)하다는 □을 잘 알고 있는 □利(리)의 代價(대가)□ 언제라도 支拂(지불)할 用意(용의)가 되어 있읍니다 또 韓國(한국) 國民(국민)은 韓國(한국) 獨立國宣言書(독립국선언서)의 草案者(초안자)들과 마찬가지로 最後(최후)에 있어서 韓國(한국)은 勝利(승리)□ 獲得(획득)할 수 있다는 것과 또 그 □利(리)는 國家的(국가적) 威(위)□과 獨立(독립)을 要求(요구)□는 三(삼) □萬(만) 寒國民(한국민)□ 一致(일치)□ 努力(노력)으로 □□ 爭取(쟁취)된다는 것을 잘 理解(이해)□고 □읍니다

戰爭(전쟁) 初(초)□에 韓國(한국) 靑年(청년)들이 보여준 勇猛(용맹)한 決意(결의)□ 自由世界(자유세계)로 하여금 大韓民國(대한민국)을 □後(후)에서 援助(원조) 支持(지지)케 하였고 어떠한 犧牲(희생)을 □릅쓰고라도 自由(자유)□ 爲(위)□여 싸우겠다는 自由人民(자유인민)의 決意(결의)를 敵軍(적군)이 過小評價(과소평가)하였다는 事實(사실)을 再次(재차) 그들에게 如實(여실)히 보여주었든 것입니다 오늘 우리들은 이 記念式(기념식)을 戰爭(전쟁)이라는 검은 □름 밑에서 擧行(거행)하고 □지만 本人(본인)은 멀지 않은 將來(장래)에 여러분과 더부러 平和裡(평화리)에서 이 記念式(기념식)을 祝(축)□할 수 있는 榮光(영광)이 돌아오기를 衷心(충심)으로 希望(희망)하여 마지않습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