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외국공관 <1> 美 영사관 내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韓美교류 교량역···反美시위 '단골'



역사적으로 한국국민들이 가장 가까운 우방으로 여겨온 미국은 부산에 대해서는 상당히 무관심했다.

그도 그럴 것이 한국 제2의 도시이며 세계적 무역항으로 성장한 부산이지만 미국에게는 직접적인 경제적 이해관계가 적고 특별히 찾을만한 이유도 없었기 때문이다.

부산인구가 3백만명을 넘어선 84년까지만 해도 부산에 진출한 미국기업은 겨우 20여곳에 불과했다.

미군을 제외하고 부산에 있는 미국인도 불과 6백여명에 머물러 서울 미대사관의 관심을 끌기에는 부산은 너무나 매력이 없었던 것이다.

이런 이유로 부산에는 미국영사관 설치시기가 비슷한 규모의 세계 다른 도시에 비해 턱없이 늦은 편이었다.

미영사관은 지난 83년11월 한국을 방문한 레이건 미대통령과 전두환대통령간 정상회담 뒤 공동성명을 통해 마침내 개설의 길이 열렸다.

공동성명 제13항은 레이건대통령은 가까운 장래에 한국 제2의 대도시이며 한미경제교류의 중심지인 부산에 영사관을 개설코자 하는 미국측의 의향을 전대통령에게 통보했으며 · · ·」 라고 돼 있다.

공동성명 2개월뒤인 84년1월 미대사관은 부산 중구 대청동2가24 당시 미문화원 건물 2층 한 켠에 영사관을 개설했다.

관할지역은 부산 경남북 전남북 등 영호남 일대.

영사관이 설치되기 전까지 미국의 對부산 업무는 지난 48년에 세워진 미문화원(현재 아메리칸센터)에서 맡아왔다.

현재의 아메리칸센터는 도서관업무 국제강연 등 학술업무를 주로 하지만 초기에는 정치 등 다른 업무를 상당히 중요시했다.

영사관과 미문화원이 들어선 건물은 지난 21년11월 일제의 조선수탈 선봉역을 맡아했던 동양척식주식회사가 부산지점 사무실로 세운 곳으로 역사적으로 외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던 곳이었다.

이 건물은 한국전쟁 당시에는 서울에서 부산으로 피란왔던 미대사관이 임시 사무실로 사용하기도 했다.

영사관 설치에 앞서 미대사관은 미문화원에 82년1월부터 주한미대사관 부산사무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었다.

부산사무소의 주요 담당업무는 지역경제 동향보고 미국사절단 수행안내 등 극히 제한적인 것에 불과했다.

서울주재 미영사가 매주 금요일 한차례 부산으로 내려와서 오전에는 미군 및 가족을,오후에는 민간인을 대상으로 영사업무를 했다.

그러나 미국은 부산사무소만으로는 영호남 지역에 활동을 펴치는데 일정한 한계를 느꼈고 그 결과 부산사무소 설치 2년만에 영사관 개설을 서두르게 된 것이다.

부산 미영사관과 문화원은 많은 시련을 겪어야 했다.

82년3월 대학생들과 재야운동가들의 미문화원 방화사건으로 1명이 죽고 3명이 중화상을 입었고 86년5월에는 대학생들게 점거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이후 이곳은 대학생 각 재야단체 등의 반미시위 단골장소로 활용됐으며 일반인들의 출입도 규제를 받았다.

미영사관은 지난 94년 예산절감을 내세운 미국정부에 의해 폐쇄될 위기를 맞았다.

영사관 규모에 비해 부산에서는 별로 할 일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비자발급 업무를 맡던 부영사를 폐지하는 등 일부 규모를 축소한 끝에 겨우 폐쇄만은 면하게 됐다.

부산 미영사관에는 초대영사 제임스 매그너씨가 부임한 이후 데니스 할핀 전영사 에드워드 크로스 현영사에 이르기까지 모두 5명이 영사로 재임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