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착률 90% 개발' 괴정5구역의 실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재정비촉진지구(뉴타운)로 지정됐다가 진통 끝에 사업이 무산됐던 부산 사하구 괴정4동 괴정5구역이 원주민 맞춤형 재개발 실험에 도전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괴정5구역 생활권계획 주택재개발추진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는 23일 "주민 동의율 73% 이상을 확보했다"며 "75%가 되는 대로 사하구청에 도시정비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통상 재개발사업의 경우 조합을 설립하려면 주민 4분의 3이 동의해야 한다. 사하구청은 신청 접수 후 주민협의체와 정비계획을 수립해서 부산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치게 된다.

재정비촉진지구 지정됐지만
반대 여론에 2011년 해제

철거 위주 재개발서 탈피
성공 땐 주변 지구 파장 클 듯


개발 청신호를 켠 괴정5구역은 사하구 괴정4동 656의 7 일대 13만여㎡로 삼익아파트 뒤편이다. 주민은 총 1천660명. 40년 전 부산에선 대신동 다음으로 부자 동네였으나 다른 지역에 고급 아파트가 들어서며 쇠락했다.

특히 실패한 정책으로 꼽히는 재정비촉진지구의 피해가 고스란히 남은 동네다. 2008년 5월 당리동 일대와 함께 재정비촉진지구로 선정돼 주거환경 개선이 기대됐으나 마침 건설업에 불어 닥친 한파와 주민 반대 여론을 이유로 재정비촉진지구 지정 3년 만인 2011년 4월 해제됐다. 2007~2008년 부산시가 지정한 5개 재정비촉진지구 중 첫 번째 해제 결정이 이뤄진 동네다.

이후 별다른 개발 없이 제자리걸음을 걷던 괴정5구역은 지난해 10월 부산시가 '2020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변경안을 공고하면서 주택재개발 바람이 재점화됐다. 부산시가 사하구에 생활권계획을 수립해서다. 생활권계획은 전면 철거 방식의 기존 재개발정책을 탈피한 동네 맞춤형 특화개발 전략이다.

준비위 측은 "무엇보다 주민 재정착률을 90% 이상 되도록 재개발하는 게 목표"라고 전했다. 새 아파트 입주 시점에 원주민이 다른 동네로 이주할 수밖에 없던 기형적인 개발을 지양하겠다는 것. 사실 재개발 현장은 원주민 재정착률이 낮다. 2013년 9월 입주한 부산 서구 서대신1구역 주택재개발 아파트가 대표적이다. 원주민 입주율은 13.9%에 그쳤다.

부산시는 괴정5구역 실험이 성공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 성패가 다른 생활권 계획에도 여파가 미쳐서다.

부산시 관계자는 "생활권계획은 주민 요구에 맞는 재개발을 독려하기 위해 도입했다"며 "괴정5구역이 잘 되면 주변 동네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 생활권계획은 사하구를 괴정동, 하단·당리동, 신평·장림동, 감천·구평동, 다대동 권역으로 분류했다.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도심재생으로 진행된다. 권역별 주안점은 역사문화거점(괴정권), 낙동강 하구 보존(하단·당리권), 구릉지 주거지 커뮤니티 조성(감천·구평권) 등이다.

임태섭 기자 tsl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