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사각 ‘조현병 1인 가구’… “사회 복귀 돕는 게 근본적 해결책”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가족의 도움을 받을 수 없어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나 홀로’ 조현병 환자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부산시 등은 나 홀로 환자에 대한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부산시 실태 조사조차 없어

“주민센터 등 연계 도움 필요”

9일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지역 내 1인 조현병 가구 수에 대한 실태 조사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가족 없이 혼자 사는 조현병 환자는 약 처방, 재활 교육 참여 등이 확인되지 않아 사실상 ‘위험군’으로 분류된다. 부산시 건강정책과 관계자는 “병원에 정신질환자가 입원해 치료를 받을 때 가구 형태를 조사하지만 민감한 개인정보인 탓에 시에서 이를 수집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현재 등록된 조현병 환자는 구·군에서 관리하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일주일에 한 번꼴로 투약을 잘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수준의 관리를 받고 있다. 이런 탓에 1인 가구는 제대로 된 치료나 재활 없이 고립될 가능성이 높다.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1인 조현병 가구 비율은 전체 대비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조사 결과인 2017년 말 기준으로 만 40세 이상의 정신질환자는 전체 정신질환자의 83.3% 나타났다. 만 50~64세 비중이 전체의 38.4%로 가장 높았다. 부산의 한 중증정신질환자 가족은 “정신질환자들이 이전보다 고령화되면서 돌보던 부모가 돌아가신 후 독거하는 경우가 흔하다”고 말했다.

평균 장애인 가구의 가구원 수가 줄고 있는 것도 '1인 가구 증가'를 뒷받침한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조현병을 포함한 평균 장애인 가구의 가구원 수는 2000년 3.14명에서 2017년 2.53명으로 줄어들었다. 장애인 가구도 일반 가구처럼 구성원 규모가 줄고 1인 가구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사회복지연대 김경일 팀장은 “정신질환의 경우 약물 치료가 아주 중요한데 혼자 살게 되면 돌보는 사람이 없어 이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며 “혼자 사는 정신질환자가 방치되지 않도록 주민센터와 병원 등 유관기관이 연계해 돕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나치게 관리의 측면으로 갈 경우 인권 침해 논란이 있을 수 있는만큼 결국 사회 복귀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부산지역 정신재활시설인 송국클럽하우스 유숙 소장은 “체계적인 관리도 중요하지만 결국 조현병 환자들의 사회 복귀를 돕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며 “병원 치료 후 퇴원한 조현병 환자가 정신재활시설 등록, 재활 프로그램 참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배 기자 sangbae@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