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한류 이끄는 음악 예능, ‘신한류·수익’ 두 마리 토끼 사냥

남유정 기자 honeybe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미국으로 포맷이 수출돼 현지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음악 예능 프로그램 ‘복면가왕’의 한 장면. MBC 제공 미국으로 포맷이 수출돼 현지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음악 예능 프로그램 ‘복면가왕’의 한 장면. MBC 제공

가면을 쓴 스타들이 무대에서 흥겹게 노래를 부른다. 호랑이, 거북이, 라마, 캥거루, 로봇 등 종류도 다양하다. 경연 후 가면을 벗고 정체를 밝히면 청중이 화들짝 놀란다. MBC 인기 음악 예능 프로그램 ‘복면가왕’ 이야기가 아니다. 미국판 ‘더 마스크드 싱어’의 한 장면이다.

미국판 복면가왕 ‘더 마스크드 싱어’

시즌 3 첫 방송 2300만 명 이상 시청

‘너목보’ 포맷 미국 등 10개국에 수출

‘더 팬’ 태국서 ‘팬 워스’로 방송 예정

‘판타스틱 듀오’ 스페인 프랑스 수출


미국판 복면가왕인 ‘더 마스크드 싱어’. MBC 제공 미국판 복면가왕인 ‘더 마스크드 싱어’. MBC 제공

■음악 예능 ‘신한류’ 이끈다

음악 예능 프로그램이 새로운 ‘콘텐츠 한류’를 이끌고 있다. 드라마와 K팝에 이어 세계 각국에 수출, 흥행에 성공하며 한류의 새 이정표가 됐다. 미국에서 시즌 3까지 만들어진 ‘더 마스크드 싱어’를 대표주자로 Mnet의 ‘너의 목소리가 보여’, SBS ‘더 팬’ ‘판타스틱 듀오’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프로그램은 한국 음악 예능 포맷을 전 세계에 이식해 한류 확산에 힘을 더하고 있다.

‘복면가왕’의 미국판 프로그램인 ‘더 마스크드 싱어’의 인기는 갈수록 뜨겁다. 이달 초 방송을 시작한 시즌 3은 시청률이 높은 주요 시간인 매주 수요일 오후 8시에 편성됐다. 사회자는 가수 닉 캐넌이 맡았고, 패널로는 제이미 폭스와 한국계 배우 켄 정 등이 출연한다. 첫 방송은 미국 최대 스포츠 행사인 제54회 슈퍼볼 직후 편성됐는데, 한 회 시청자만 2373만 명을 모아 화제가 됐다. 이는 NBC ‘더 보이스’ 이후 7년 만에 미국에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던 시즌 1의 전체 시청자 수 5400만 명의 절반에 가까운 인원이다.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세계 10개국에 포맷이 수출돼 인기를 끌고 있는 ‘너의 목소리가 보여’. CJ ENM 제공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세계 10개국에 포맷이 수출돼 인기를 끌고 있는 ‘너의 목소리가 보여’. CJ ENM 제공

■해외도 ‘너의 목소리가 보여’ 등 열풍

Mnet 음악 예능 ‘너의 목소리가 보여(너목보)’의 포맷도 10개국에 수출됐다. 미국,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루마니아 등이다. 이 방송은 직업과 나이, 노래 실력을 숨긴 미스터리 그룹에서 몇 가지 단서만으로 실력자와 음치를 가리는 내용으로 국내에서 인기를 얻었다. 국내에서 2015년 첫선을 보인 뒤 시즌 7까지 제작됐다. 이 프로그램은 2016년 태국에서 현지판 ‘너목보’로 만들어졌는데 200회를 넘긴 지금까지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 말엔 미국 폭스 채널에서도 파일럿 프로그램 제작이 완료됐다. 민다현 CJ ENM 해외사업팀장은 “아시아와 유럽 등 해외에서 시즌을 이어갈 만큼 강력한 포맷”이라며 “미주 지역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태국에 포맷을 수출한 SBS 음악 예능 ‘더 팬’은 올해 초 현지에서 방송을 시작한다. 타이틀은 ‘팬 워스’이며 태국 지상파 TV채널인 워크포인트에서 방송된다. 일찌감치 ‘복면가왕’과 ‘너의 목소리가 보여’ 등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을 수입해 태국판으로 성공시킨 곳이다. 앞서 SBS 음악 예능 ‘판타스틱 듀오’ 포맷도 스페인, 프랑스 등에 판매됐다.


태국 지상파 TV 채널이 포맷을 수입한 ‘더 팬’. SBS 제공 태국 지상파 TV 채널이 포맷을 수입한 ‘더 팬’. SBS 제공

■한류 확산·경제적 효과

음악 예능 프로그램의 외국 진출은 기존 한류가 진출하지 못한 시장에 한국문화를 알릴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여기에 방송 기획 콘셉트와 구성, 제작 방식을 모두 아우르는 포맷은 산업의 핵심 역량이기 때문에 경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국 프로그램 포맷과 리메이크 판권을 해외에 수출하면 한류 확산과 수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셈이다.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는 “한국 음악 예능 프로그램은 문화할인율이 낮기 때문에 어느 나라에나 적용이 가능하다”며 “추리와 퍼즐 맞추기의 구성을 취해 이를 즐기는 해외 시청자의 몰입과 흥미를 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특히 대중음악의 축적성이 큰 유럽이나 미국 등지에 잘 맞기 때문에 한류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포맷을 판매해 얻는 경제적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잘 만든 프로그램 하나가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도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유정 기자 honeybee@busan.com


남유정 기자 honeybe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