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자가 격리 해제 3030명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에서 코로나19 관련으로 자가 격리됐다가 해제된 수가 3000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자가 격리가 해제된 이후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가 곳곳에서 나와 ‘자가 격리 해제 뒤 감염’에 대한 불안이 여전하다.

해제 후 재확진 잇따라 ‘불안’
“체계적 관리 시스템 갖춰야”

9일 오후 5시 기준 부산 내에서 자가 격리가 해제된 시민은 3030명이다. 현재 자가 격리 중인 시민은 모두 377명이다. 자가 격리는 14일간 이뤄지며, 이 기간 동안 보건소 직원 등이 증상 유무를 매일 파악한다.

9일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에 따르면, 광주에 거주하는 A(25) 씨가 지난 8일 다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격리가 해제된 지 5일 만에 확진 판정을 받았다. A 씨는 지난달 18일 자가 격리를 시작해 지난 3일 격리 해제됐다. 광주에 사는 B(22) 씨도 지난 8일 자가 격리 해제 6일 만에 또 확진 판정을 받은 바 있다.

부산의 한 감염내과 전문의는 “만약 외부 접촉 없이 자가 격리가 완벽히 이뤄졌고, 이후에도 밀접 접촉 등 감염 요인이 없었다고 가정한다면, 14일로 정해 놓은 코로나19 잠복기에 의문이 생길 수도 있는 상황이 여러 곳에서 연출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자가 격리가 해제된 시민을 관리할 체계적 시스템이 없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병원 등 집단시설에 머문 환자는 격리 해제를 위해 두 차례 진단 검사를 받은 후 음성 판정을 받아야 하지만, 주거지에서 자가 격리된 사람은 두 번째 검사를 받지 않아도 된다. 또 자가 격리 해제된 사람은 외출에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다. 실제로 광주에서 격리 해제 후 확진 판정을 받은 두 사람 모두 자유롭게 외출을 했다.

안병선 부산시 건강정책과장은 “자가 격리 해제 이후에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법은 없다. 다만 관할 보건소를 통해 격리 해제된 시민의 증상 유무를 수시로 파악하고 있다”며 “시민들의 협조가 필요하다. 자가 격리 이후에라도 증상이 있는 경우, 1339나 관할 보건소로 꼭 연락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진석 기자 kwak@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