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학원·교습소, ‘눈물의 휴원’ 동참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눈물을 머금고 휴원에 동참하는 학원이 늘면서 부산 지역 학원·교습소의 휴원율이 74.5%까지 올라갔다. 부산시교육청의 첫 휴원 권고가 있었던 지난달 24일 휴원율 34.9%에 비하면 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12일 현재 8501곳 중 74.5% 문 닫아
“정부가 지원책 없이 희생 강요” 불만도

12일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기준 부산 지역 8501곳 학원·교습소 중 6337곳이 문을 닫아 휴원율이 74.5%에 이르렀다. 이는 전날 68.8%보다도 크게 오른 수준이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고 수준이다. 부산 지역 학원 휴원율은 2일, 일주일 휴원 후 개원한 학원들이 늘면서 급격히 떨어졌지만 대체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학원 휴원율이 크게 오른 데는 시교육청과 부산시의 지속적인 권고와 합동단속 등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시교육청과 부산시는 지난 주말부터 합동단속반을 꾸려 입시학원 등 주요 학원을 상대로 특별지도 점검을 벌이고 있다. 단속반은 문을 열어 놓은 대형학원, 주말반 운영 학원, 독서실을 찾아 위생 상태를 점검하며 휴원을 당부하고 있다.

지난 9일 있었던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한국학원총연합회와의 간담회 영향도 크다. 간담회에서 학원연합회는 이번 주까지 적극 휴원에 동참하되, 다음 주부터는 지역별, 학원별 심각도를 감안해 탄력적 휴원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부산의 학원 휴원율도 이번 주 최고점을 찍은 뒤 다음 주 다시 내려갈 가능성도 있다.

학원업계에서는 “정부가 아무런 지원책도 내놓지 않은 채 무조건 학원의 희생만을 강요하고 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한 학원 관계자는 “단속을 나와 휴원하라고 할 정도면 사실상 강제나 다름없는데 지속적인 요구에도 교육청이나 교육부가 임차료나 강사료 지원 등에 대한 답을 주지 않고 협의 중이라고만 해 막막하다”고 말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부산시와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등에 요청해 지원책이 마련될 수 있게 해 달라고 건의하고 있고 교육부에서도 예산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휴원에 동참해 주고 있는 데 감사를 표하며 개학할 때까지 조금만 더 휴원에 동참해 주기를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이현정 기자 edu@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