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답답·우울하다” 코로나 심리 치료, 지자체가 적극 나서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코로나19 사태가 두 달 가까이 지속되면서 일상생활 단절로 인한 고립감이나 소외감 등 심리적 불편을 호소하는 시민이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부산 전역에서만 수천 건의 심리 상담을 요청하는 시민 전화가 줄을 잇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심리적 스트레스가 임계점을 넘고 있다는 방증으로 읽힌다. 산발적인 소규모 집단 감염 등 현장 방역이 여전히 중요하지만, 이제는 코로나19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 방역에도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할 시점이 됐다.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시민들의 심리 상담은 ‘사회적 거리 두기’가 장기화하면서 최근 3주 사이에 급증세를 보인다. 부산시에 따르면 어제까지 16개 구·군과 시의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접수된 심리 상담 건수만 2000건 정도에 달한다. 대부분 불안감과 답답함, 우울감을 토로했는데, 원인으로 외출 자제와 자가 격리, 감염 공포감 등을 꼽았다. 대구에선 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자살 시도 사례도 전해지고 있다. 코로나19가 유발한 정신적인 병리 현상이 전국에서 속출하고 있는 셈이다.

심리적 스트레스가 심상찮은 지경에 이르면서 부산은 물론 전국의 많은 지자체도 심리 상담 서비스를 시작했거나, 지원 분야를 넓히는 추세이다. 부산도 현재 시 전역에서 215명의 상담 인력을 운용 중이다. 심리적 고충 등 단순 상담부터 증상이 심각하다고 판단되면 의료기관으로 연계도 한다. 그러나 사태의 장기화 전망으로 심리적 스트레스 문제는 갈수록 늘 것이라는 예상이다. 장기적인 맞춤 대책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코로나19의 방역에 관한 한 이제 외적인 측면은 물론 국민의 내면적인 심리 부분까지 전방위적인 대처가 불가피해졌다. 중앙정부가 앞으로도 현장 위주의 외면적인 감염 차단에 집중한다면, 시민의 심리 방역은 지자체가 더 신경을 쏟을 수밖에 없다. 집이나 회사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 대응법을 SNS를 활용해 적극 홍보하고, 관련 상담 인력의 배치를 늘리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코로나19에 찢긴 시민 마음까지 배려해야 하는 게 지자체의 임무임은 물론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