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급휴가·해고… 벼랑 끝 비정규직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민주노총 부산본부와 노동단체가 19일 오후 부산시청 광장에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취약노동자 피해 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비정규직, 중소영세 사업장 등 취약노동자들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며 각종 불법행위 단속과 직접 지원 대책 등을 촉구했다. 정종회 기자 jjh@

노인 복지시설에서 일하는 A 씨는 이달 들어 이틀에 하루꼴로 무급휴가를 강요받고 있다. 코로나19 탓에 시설 이용자가 줄었다는 게 이유다. 애써 직원에게 ‘동의’를 구하는 모양새를 취하지만, 이를 거부한 사람은 정리해고 당했다. A 씨는 “지난달 강제로 연차를 사용한 데 이어, 이번 달에 휴업수당도 없이 급여가 반토막 나게 생겼다”고 털어놨다.

불법 갑질 피해 신고 급증
민노총 등 긴급 기자회견
“생계 수단 직접 지원하라”

서빙 아르바이트를 하는 B 씨도 사정은 비슷하다. 지난 1월부터 한 고깃집에서 일하고 있는 B 씨는 하루 12시간 근무에 월급 300만 원을 받기로 했다. 하지만 업주는 1·2월 두 달간 일방적으로 급여를 절반만 지급했다. 업주는 B 씨의 항의에 “돈이 없다”는 말만 반복했다. B 씨는 “급여를 반만 줄 거면 근무시간도 줄여달라고 했지만 사장은 ‘같이 일 못 하겠다’고 답했다”며 황당함을 감추지 못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무급휴직을 강요받는 등 현장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피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노동단체는 부산시에 이들 취약 노동자에 대한 지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19일 민주노총 부산본부에 따르면 부산에 첫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달 21일부터 18일까지 ‘코로나 직장 갑질 신고센터’에 피해 신고가 29건 접수됐다. 제조업, 숙박업, 복지서비스업 등 업종을 가리지 않고 무급휴직과 연차 강요 등 사례가 늘고 있다.

민주노총 부산본부 측은 “휴업 수당을 지급하지 않고 무급휴가를 강요하는 것은 명백한 불법”이라며 “코로나19에 따른 영업 손실 등을 이유로 부당 해고하는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민주노총 등 노동단체는 19일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부산시는 코로나19를 빙자한 무급휴직, 강제 연차 등 불법행위를 금지하고 취약 노동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이 제안하는 지원 방법은 ‘재난 생계 수당 직접 지원’이다. 부산시가 제출한 추경 예산은 대부분 상품권 발행, 방역 등 간접 지원이 대부분이라 현실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민주노총 부산본부 측은 “소규모 영세, 비정규 노동자 등 취약계층에게 재난 생계 수당을 직접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는 13일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2508억 원 규모의 긴급 추가경정 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

이상배 기자 sangbae@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