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온라인·등교 투트랙 개학, 혼선 없도록 준비에 만전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4월 6일 등교·온라인 개학 동시 추진 의지를 밝힌 정부가 다음 주부터 원격 교육 시범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한다. 해외 유입에 의한 코로나19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는 데다 국내 집단 감염 사례도 여전히 끊이지 않아 4월 초 개학의 안전 여부를 장담할 수 없어서다. 연거푸 세 차례나 연기한 뒤 어렵사리 개학했다가 자칫 교내 확진자라도 발생한다면 그 혼란은 상상하기 힘들 수밖에 없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온라인 수업은 고육지책이지만 불가피한 선택이다. 교육 현장의 혼선을 없앨 철저한 준비 말고는 달리 방법이 없다고 본다.

세 차례에 걸친 개학 준비로 학교 현장이 겪고 있는 이중 삼중의 고통을 모르지 않는다. 일선 교육청은 사상 초유의 개학 연기를 맞아 매뉴얼을 만드느라, 교사는 온라인 수업에 대비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다는 전언이다. 학부모는 학부모대로 온라인 수업의 행정적, 기술적 기반이 갖춰지지 않아서 걱정이 태산이다. 구체적인 대안이 없는데 실효성이 있겠냐는 의구심이 쏟아진다.

4월 6일 등교 개학을 맞는다면 더없이 좋겠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온라인 개학도 준비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있을 순 없다. 교육부가 온라인 수업을 수업일수와 수업시수로 인정하는 원격 수업 기준안을 치밀하게 세워야 한다. 실질적인 교육 기반이 될 원격 수업 장비 배포 등 기술적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소득층 학생에게 디지털 기기인 크롬북을 대여하는 미국 일부 지역의 사례는 적극 참고할 만하다. 초등 저학년생들이나 맞벌이 부부 자녀를 대상으로 한 보완 대책도 필요하다.

불행히도 우리는 작금의 비상사태를 맞아 디지털 교육 시스템을 완벽히 구비하지 못한 상태다. 다만 정부가 당장 일선 현장의 혼란을 막는 선에서 최선의 준비를 다하는 수밖에 없다. 온라인 수업은 일방적 과제 제시형에서 교사와 학생이 실시간 소통하는 쌍방향 방식으로 그 질을 점차 넓혀 가야 한다. 코로나 사태가 새삼 디지털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 차제에 미래 디지털 교육 정책의 근간을 제대로 세우는 기회로 삼아야 하겠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