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 더 촘촘한 해양안전망 구축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바다로! 미래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직원들이 해양사고 관련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KOMSA 제공

“국민 모두가 안심하고 바다를 누릴 수 있도록 안전한 바다, 깨끗한 바다, 스마트한 바다, 행복한 바다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지난해 7월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출범식에서 공단 이연승 이사장이 국민과 한 약속이다. 지난해 7월 1일 선박검사기관이었던 선박안전기술공단이 해양교통안전 종합 관리기관인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이하 공단)으로 새롭게 출범하면서 내걸었던 최우선 목표는 단연 해양사고 저감(低減·낮추어 줄임)이었다. ‘출범 10년 이내 해양사고 50% 저감’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도 제시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해양사고 예방센터 신설을 통한 해양사고 예방활동 강화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능동적 안전관리 △안전하고 성능이 우수한 친환경 선박인증 개발 및 선박 기인 대기오염물질 종합관리 △해양교통안전 통합정보 인프라 구축 및 연안여객선 운항관리시스템 고도화 등을 통한 업무 스마트화 △해양안전교육과 교통방송 등을 통한 대국민 해양안전문화 확산 등 주요 핵심사업을 선정했다.

특히 해양교통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각종 해양정보를 통합,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해양사고 예방은 물론 스마트 해양교통체계 구축, 선박안전관리, 기술연구 및 안전문화 확산 등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지난해 해양 안전 아우른 조직으로 출범
10년 이내 해양사고 50% 저감이 목표
빅데이터실 신설해 체계적으로 관리
최근 5년 해양사고 데이터 취합해 제공
‘어선용 구명의’ 개발 등 안전 지킴이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사옥 전경.(위) 지난해 12월 30일 이연승 이사장(앞줄 오른쪽 세 번째)을 비롯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관계자와 장원익 통영해경 욕지구조거점출장소 소장이 현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KOMSA 제공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사옥 전경.(위) 지난해 12월 30일 이연승 이사장(앞줄 오른쪽 세 번째)을 비롯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관계자와 장원익 통영해경 욕지구조거점출장소 소장이 현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KOMSA 제공

■해양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최근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전 세계적으로 재난·안전 분야의 빅데이터 연구가 탄력을 받고 있는 데, 확진자의 감염추적 과정부터 확산예측 및 선제적 예방까지 빅데이터가 다각도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교통안전 분야에서도 ‘빅데이터’의 활용가치는 무궁무진하다. 육상 부문은 교통사고 저감을 위해 교통안전법 개정 및 업무 대행기관(한국교통안전공단)을 지정하여 교통안전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있다.

반면 해양 부문은 지난해까지 해양교통 안전정보를 총괄·관리하는 주체가 없었으나 공단이 출범하면서 그 역할을 맡게 되었다. 공단은 ‘해양교통빅데이터실’을 신설하고 전문 인력을 보강하였으며, 기상청, 한국해운조합, 한국선주상호보험조합과 데이터 공유를 위한 업무협력체계를 구축했다. 관련 데이터 수집,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도 추진 중이다.



■해양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고 예방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이하 중해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해양사고 발생 건수는 2971건으로 전년도 대비 11.2%(300건) 증가했다. 그 중 어선이 1951건으로 65.6% 비율을 차지했다. 지난해 인명피해도 98명으로 매년 100여 명 가량이 해양 사고로 목숨을 잃고 있다.

인명피해 사고 선박의 대부분은 영세한 어선들로, 사고는 조업활동 중 발생했다.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85.6%가 ‘운항 부주의’ 등 인적과실로, 선박종사자의 과실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 급선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공단은 최근 5년간 발생한 해상 충돌사고 데이터를 취합해 ‘사고 발생 위치 분포’와 ‘사고 밀집 해역’에 대한 안전정보를 관련 종사자에 제공하고 있다.

또 큰 피해를 동반하는 어선 전복사고 원인과 관련, 지난 30년간 공단에 등록된 국내 연안어선 9.77톤(t)급과 근해어선 29톤급 어선검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점으로 어선의 길이가 길어지고 너비는 넓어졌으며, 깊이는 얕아지는 등 선형변화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어선의 선형변화는 원거리 조업과 어업허가톤수 제한에 따른 선복량 억제 정책 등 수산업 전반의 여건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일각에서 전복사고 원인으로 제시하는 어선 불법 증·개축과는 연관성을 찾기 어려웠다.

중해심 재결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전복사고(385건)의 주요 원인으로 ‘운항 부주의’(32%), ‘기상악화’(27%), ‘관리소홀’(24%) 등이 꼽혔으며, 나머지 요인인 ‘적재 불량’ 및 ‘정비 불량’ 등을 포함하자 전체 전복사고의 88%가 인적요인에 의한 해양사고인 것으로 드러났다.

공단은 향후 인적과실에 의한 사고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기술적 조치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된 건조년도에 따른 선형변화. KOMSA 제공

■해사업무 전담팀 신설… 국제협력사업 박차

공단은 국제해사업무도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해양분야 국제법의 국내 수용 및 이행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업무의 수행, 그리고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 개도국 대상 ‘공적개발원조(ODA) 사업과 기술협력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3월에는 체계적인 국제업무 수행과 국제협력 사업 발굴을 위해 ‘국제해사 업무 TF’를 신설했다.

특히, 공단은 지난 13일 전 세계 산업계와 각국 정부가 함께 발족한 ‘Getting to Zero 2030 Coalition(탄소배출 제로연대)’ 회원으로 가입하는 등 국제적 입지를 넓혀가고 있으며, 개발도상국 해사 전문가들 대상으로 ‘온실가스 부분과 해양교통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국제해사교육센터를 설립을 추진 중에 있다.

탄소배출 제로연대는 탄소배출제로선박 상용화를 위한 국제 파트너십으로서, 전 세계 14개 국가와 세계 1위의 해운기업인 머스크(A.P.Moller-Maersk)와 에너지·석유화학기업인 쉘, 시티은행 등 130여개사가 참여 중이다.



■어업 현장에 맞게 어선검사제도 개선

어선검사제도 개선에도 공단은 힘을 쏟고 있다. 공단은 어선에 육상용 소화기도 추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혔다. 법정 비품으로 모든 어선에 구비토록 돼 있는 어선용 소화기는 제조사가 적어 가격이 비싼데다 대부분이 가압식 소화기로 용기의 부식에 따른 폭발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공단은 해양수산부와 함께 현장에서 활용성이 높은 ‘어선용 구명의’ 개발을 완료하였고, 유효기간이 남아 있음에도 어선검사 때 교체하도록 했던 ‘신호탄류’도 제품의 수명을 다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기준을 변경했다.

공단은 어업인의 해상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선박의 안전성은 물론이고 어업인의 목소리를 반영한 어선원의 복지, 조업편의 및 비용 감소에 이르기까지 제도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수부와 계속해서 펼쳐 나갈 방침이다.



■모두 지키는 안전, 함께 누리는 바다

우리나라 해양관할권 면적은 육지의 4.5배이다. 국토를 육지에만 한정하지 않고 해양으로까지 확장하면 그 잠재력은 폭발적으로 늘어난다.

바다는 육지만큼 활기 넘치고 역동적인 생활의 공간이다.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어부는 말할 것도 없고, 연간 1700만 명에 이르는 국민이 연안여객선으로 이동하고 낚시인구도 80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이러한 바다를 모든 국민이 마음껏 누릴 수 있도록 공단은 촘촘한 해양안전망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연승 공단 이사장은 “공단이 해양안전의 든든한 파수꾼이 되라는 시대적 요구에 적극 부응하여 주어진 책무를 성실히 이행할 것”이라면서 “국민 모두가 함께 해양안전을 실천함으로써 안전한 대한민국, 안전한 우리 바다를 누릴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