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 이유 ‘불참’ 코레일, 극적 ‘막차 탑승’ 천군만마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 ‘부산시 컨소시엄’ 막전막후

부산시·부산항만공사(BPA)·부산도시공사(BMC)·한국철도공사(KORAIL)·한국토지주택공사(LH) 5개 기관으로 구성된 ‘부산시 컨소시엄’이 부산항 북항2단계 항만재개발사업 공동 이행 협약식을 27일 오전 부산시청 7층 회의실에서 개최했다. 강원태 기자 wkang@

부산시가 ‘부산시 컨소시엄’ 대표사로서 27일 ‘부산항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 사업계획서를 해양수산부에 제출함에 따라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BPA), 코레일(한국철도공사), LH(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도시공사(BMC) 5개 기관으로 꾸려진 ‘어벤저스·드림팀’의 역할분담이 매우 중요해졌다.

특히 부산 시민들의 의견을 모아 공공성과 상업성을 절묘하게 조화시키며 ‘부산의 100년 미래’ 부산항 북항의 모습을 완성해 나갈 부산시 컨소시엄의 책임도 그만큼 막중해졌다.

도시재생·철도 재배치·엑스포 등 난제
市 관계 기관 이해 조정자로 사업 참여
‘지분 없어도 참여 가능’ 해수부 길 터 줘
‘유라시아 철도 기점’ 논리로 코레일 설득
LH·BPA·부산도시공 역할 수행 ‘관건’

부산시의 사업계획서 제출을 하루 앞두고 26일 정성기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장의 안내로 북항 재개발 현장인 부산역조차장을 찾은 박성훈 부산시 경제부시장을 만나 부산시가 부산시 컨소시엄(북항 2단계 사업 사업시행자)의 대표사 자격으로 참여하게 된 배경 등 자세한 얘기를 들어봤다. 박 부시장은 ‘북항 재개발 2단계 사업 추진 TF팀’ 팀장으로서 부산시의 북항 2단계 사업 참여를 사실상 총괄하고 있다.

박 부시장은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은 항만 개발에 집중했다면, 이번 북항 2단계 사업은 항만 개발보다는 오히려 도시재생이 더 강조되는 사업이라고 소개했다. 경부선 직선화, 2030 월드엑스포(세계박람회) 등 부산의 미래를 담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모멘텀들이 있는데, 그걸 하나로 집약시켜 놓은 것이 바로 북항 2단계 사업이라는 것이다.

부산시가 북항 2단계 사업에 참여하게 된 배경에 대해 박 부시장은 “북항 2단계 사업은 부산시가 참여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는 사업”이라며 “이 사업은 해수부가 단독으로 할 수도 없고, 해수부·국토부·산업부 등 관계된 부처가 워낙 많기 때문에 부산시가 관련된 이해관계를 다 조정해주지 않으면 이 사업은 절대 성공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박 부시장은 또 “북항 2단계 사업은 미래 가치는 있어보이지만, 코레일도 참여를 꺼려했을만큼 현재 분석상으로는 적자구조다. 국가재정지원이 절실하다”면서도 “이번 사업은 개발을 통한 이익이 부산시, 특히 원도심 지역에 돌아갈 수 있다는 게 중요한 부분이다. 개발이익이 발생하면 거기서 나온 수익을 원도심에 되돌려 드릴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사업시행자 공모가 상당히 진행된 상황에서 부산시가 극적으로 참여한 데 대해 “지자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해수부가 길을 열어 준 게 큰 힘이 됐다”고 전했다. 해수부는 북항 2단계 사업 사업시행자를 공모하면서 ‘지분이 없어도 지자체 참여가 가능’토록 공모지침에 유연성을 발휘했다.

특히 북항 2단계 사업은 1단계 사업과는 달리 난제 중의 난제인 도심 철도 재배치 문제가 걸려 있고, ‘유라시아 철도의 관문 부산’이 갖는 대역사(大役事)로서의 상징성도 크다.

경제성이 적다는 등의 이유로 사업 불참을 공식화한 코레일이 부산시의 적극적인 설득작업으로 공모 기간 막판에 극적으로 합류한 것은 그야말로 천군만마나 다름없다. 코레일은 처음에는 “북항 2단계 사업에 참여를 않겠다”고 실무선에서 공식적으로 선을 그은 바 있다.

박 부시장은 “코레일은 부산역·부산진역 이전, 철도 재배치 등 현안과 관련된 기관이기도 하고 부산이 유라시아 철도의 시작점이기도 하다”며 “코레일의 미래와 부산시의 미래는 결국 코레일이 2단계 사업에 참여하느냐 마느냐에 달려 있다”며 코레일 사장을 적극적으로 설득했다고 전했다. 또 “이번 기회가 도시재생 사업에 코레일이 들어오면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며 “유라시아 철도 시작점으로서 부산의 상징성도 크다”는 박 부시장의 설득도 코레일 사장의 마음을 움직였다고 한다.

부산시가 지분 없이 대표사 자격으로 참여한 것을 두고 컨소시엄 내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을지 일각에서 우려가 제기되는 데 대해서는 “부산시가 들어와야 개별 기관들의 리스크를 헤징할수 있다”며 “이 때문에 (기관들 간에는)부산시가 들어오는 것을 오히려 굉장히 좋은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컨소시엄에 참여한 나머지 4개 기관과 부산시의 역할분담도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부산시는 대표사로서 정부 부처와의 협의, 인허가 등 행정업무 수행과 공공기반시설 지원, 엑스포 관련 협의 등의 업무를 맡는다. BPA는 항만기능 이전, 보상·공사·분양 등 사업총괄 등의 업무를 맡는다. LH와 부산도시공사는 보상·공사·분양 등의 사업 관련 업무를 맡고, 코레일은 철도시설 재배치 관련 업무를 맡는 등 전문영역별로 업무를 추진한다.

박 부시장은 “북항 2단계 사업을 완성시기기 위해서는 정부부처와의 마찰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며 인허가 등 행정절차, 정부부처 설득, 기관 내 중재 및 조정역할 등에서 부산시가 제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