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에 중국發 특송화물 끌어올 ‘마중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에 ‘해외직구 특송장’ 설치

이르면 다음 달 ‘부산 특송장 시대’가 개막한다. 특송장이 개설되면 부·울·경 지역에 최대 3일까지 특송화물 배송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2016년 7월 개장한 인천본부세관 특송화물 전용 물류센터. 관세청 제공

부산에 ‘해외직구’ 통관을 전담할 ‘특송화물 통관장(이하 특송장)’ 설치가 확정됐다.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하늘길이 곳곳에서 막히고 해상을 통한 화물 이동이 급증하고 있는 시점에서 부산 특송장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제는 ‘코로나 특수’를 동력으로 문을 열 부산 특송장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경쟁력 있는 특송장으로 살아남을 수 있느냐다.

지난해 부산항 특송화물 95%가 일본
국내 물량 90% 이상인 ‘중국發’ 잡아야
용당세관, 국제여객터미널과 7km 거리
물량 증가 대비 ‘위치 변경’ 장기 과제

■특송화물, 중국을 잡아라

코로나19 이후 부산항의 해상 특송화물 물량이 급증했다. 그러나 국내 해상 특송화물 물량은 코로나19 이전에도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국내 해상 특송화물 물량 추이는 2017년 200만 건에서 2018년 600만 건, 2019년 1100만 건으로 매년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해상 특송화물이 늘어나는 이유로는 중국에서 들여오는 ‘해외직구’ 상품이 크게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처럼 가까운 지역에서의 ‘해외직구’는 항공운송에 비해 해상운송의 비용이 많이 싸면서도 배송 기간 차이는 크지 않아, 해상운송을 선호하는 경향이 크다. 해상 특송물량의 90% 이상이 중국에서 오는 것들이다.

해상 특송화물은 매년 꾸준히 늘었지만, 그 물량을 부산항이 제대로 흡수하지 못했다. 실제로 지난해 부산항을 통한 중국발 특송화물 반입은 전무했다. 용당세관 관계자는 “지난해 부산항을 통해 들어온 해외 특송화물의 경우 95% 이상이 일본에서 출발한 것이었다”며 “나머지는 일부 미국이나 유럽 쪽이었고, 중국발 화물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특송장이 공급을 일으킨다

물류업계에서는 부산 특송장이 생겨나면 부산항을 통한 특송화물 반입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른바 부산 특송장이 새로운 특송화물 유입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다. 오상훈 용당세관장은 “중국발 일반 해상화물을 볼 때 부산항으로 들어오는 물량이 인천항으로 들어가는 물량보다 훨씬 많다”며 “부산에 특송장만 설치된다면 중국발 특송화물 역시 부산으로 옮겨 올 가능성이 크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특송장이 물량을 불러온다는 것은 지난해 5월 개장한 경기도 평택 해상특송장의 사례로도 충분히 입증된다. 평택 특송장은 지난해 8월 1만 5493건만의 물량을 취급했지만, 9월 4만 5588건, 10월 12만 9383건, 11월 62만 2059건에 이어 12월에는 64만 922건으로 물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지난해 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서 실시한 ‘부산 특송장 설치 타당성 용역’ 결과에서도 부산 특송장이 설치될 경우 부산을 통해 국내에 들어올 특송화물의 물량이 2022년 78만 건에 이를 것으로 봤다. 지난해 물량(약 5만 6000건)에 비해 10배가 넘는 물량이다. KMI는 이어 2030년에는 100만 건, 2040년에는 124만 건까지 급증할 것으로 봤다.

■‘특송장 위치 변경’ 장기 과제

한편 지역 물류업계 등 일부에서는 “특송장 개장은 환영하지만, 특송장이 국제여객터미널이 아닌 용당세관에 설치되는 것에 대해선 다소 아쉽다”고 지적한다.

특송화물을 운반하는 카페리는 대부분 국제여객터미널을 통해 화물을 들여온다. 이 때문에 국제여객터미널을 빠져나온 화물들이 다시 통관절차를 밟기 위해 7㎞가량 떨어진 용당세관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교통이 원활하더라도 10분 이상 걸리고, 교통 체증이 심할 경우에는 30분 이상이 걸린다. 시간적으로나 물류비용적으로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당연하다.

이에 대해 오상훈 용당세관장은 “늘어나는 특송화물 대처를 위해 신속하게 특송장을 설치하려다 보니 용당세관 신청사 개장에 맞춰 함께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다”며 “충분한 부지 확보 역시 용당세관이 가장 적합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위치적으로 유리한 국제여객터미널 인근에 충분한 부지만 확보된다면 이후 특송장을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며 “부지 확보를 위해선 부산시나 부산항만공사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종열·김준용 기자 bell10@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