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산업 활성화 대책’ 세운다더니 또 수도권 편중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무역전략조정회의 내용

정세균 국무총리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10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제2차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를 열어 ‘코로나19 대응 및 수출 확대를 위한 전시산업 활력 제고 방안’을 내놓았지만, 지역 현장의 목소리를 외면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장기적으로 전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국 11개 전시장에 대해 민관 합동으로 3조 6000억 원을 투입, 2026년까지 전시 면적을 배(2019년 29만 3000㎡→2026년 56만 1000㎡)가량 늘리는 대책을 내놨다.

2026년까지 전국 11개 전시장
민관 합동 3조 6000억 원 투입
국비 1700억 불과, 지방비 부담 커
초대형 신·증축, 서울·경기에 집중
지역 목소리 외면, 실효성 떨어져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 보면 투입 예산 3조 6000억 원 중 국비는 1700억 원에 불과하고 대부분이 지방비(1조 1400억 원) 부담과 민간자금(2조 3200억 원) 몫인 데다 11개(신축 6개, 증축 5개) 전시장 중 초대형 전시시설은 킨텍스·코엑스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 들어설 제3전시장은 전시 면적 7만 90㎡와 비즈니스호텔 등으로 구성된다. 서울 잠실 종합운동장역 북쪽에는 전시 면적 10만㎡ 규모의 제2 코엑스가 들어선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부산·울산·대구·대전·강원·제주·천안·청주 등 9개 도시에는 2026년까지 5개 신축, 4개 증축을 통해 총 9만 8000㎡의 소규모 전시장 만을 추가 공급할 예정이다.

전시산업은 지자체 재원이 한정돼 있는 만큼 정부가 자자체별로 좋은 시책을 발굴해 우선적으로 예산 지원을 확대해야 하며, 산업통상자원부와 문화체육관광부로 이원화한 마이스(MICE) 산업 협업구조도 근본적으로 손질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10일 부산시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전시산업은 기업들의 중요한 수출 연결고리 역할을 하지만, 코로나 19 확산으로 전시회가 전면 중단돼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실제로 올해 2~6월 개최 예정인 전시회 218건 중 163건이 취소 또는 연기됐다. 상반기 업계 피해액은 3200억 원으로 추산된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이날 발표한 대책에서 자금 공급 등 각종 지원책을 마련하는 한편, 해외 바이어가 찾아올 수 있도록 국내 전시 인프라를 확충하기로 했다. 정부는 올 하반기로 연기된 전시회에 참여한 기업에 대해선 부스 참가비 일부를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이번 대책에서 정부는 열화상 카메라 임대, 체온계 및 손소독제 비치 등 전시회 방역비용 매칭지원 명목으로 2억 300만 원만 배정했다. 열화상 카메라 등 고가장비 지원대책으로는 턱없이 부족한 예산이라는 지적이 인다.

부산시는 이날 전시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 차원의 마이스업계 지원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재원·규모에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실효성 있는 정책 발굴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정책 발굴을 위한 협업 시스템, 정부사업화 추진, 지원규모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부산시는 전시산업 활성화를 위한 건의사항으로 △미팅테크놀로지(회의기술) 활성화 지원 △방역물자 지원 △취소 행사의 매몰비용 지원 및 연기 행사의 정상 개최 지원 △마이스를 통한 지역관광 활성화 지원 △전시 공공기금 조성 △마이스산업 정부정책 이원화 구조 개선 등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마이스산업의 세계적 트렌드가 미팅테크놀로지 활용 활성화인 만큼, 전시 주최자에게 미팅테크놀로지 장비·기술 사용료 지원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홀로그램(3000만~4000만 원), 안내로봇(1000만 원), 행사등록시스템(모바일 등록 등 고객관리 전반 1000만~2000만 원) 등에 수천만 원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부산시가 업계 의견을 수렴한 결과, 전시 주최자와 행사 대행업체의 방역물품 지원에 대한 요청도 많았다.

실제로 전시센터(벡스코)에는 에어커튼, 열화상 카메라 등 고가물품을 확보해야 하고, 전시 주최자 등 업계 역시 손소독제, 관람객 배부용 방역물품 키트 등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마이스산업의 경우 전시산업(산업부·전시산업진흥회)과 회의산업(문체부·관광공사) 업무가 이원화돼 있는 것도 문제다. 마이스산업 육성 차원에서 관련 정책 발굴을 위한 부처, 관련협회, 유관기관 간 협업 시스템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