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부산 의원들 21대 국회 ‘알짜’ 상임위서 배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6·15 남북 공동선언 20주년인 15일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6·15 선언 이후 10년의 전진과 후퇴에서 뼈저리게 얻은 남북관계의 교훈은 정책의 일관성 유지와 정상 간 남북합의서의 법적 구속력 부여”라고 강조하는 등 발언을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kimjh@

국회 상임위원회 배분을 두고 지역 정치권이 한마디로 ‘뒤숭숭’하다. 당 지도부가 주도하는 상임위 배분에서 동남권 관문공항 등 지역 현안 해결과 밀접한 핵심 상임위에 PK(부산·울산·경남) 의원이 전혀 배치되지 않거나, 일부 상임위 편중 현상으로 ‘공백’이 되는 상임위도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4·15총선 이후 ‘각자도생’이 노골화된 PK 정치권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고 지적마저 나온다.

15일 더불어민주당에선 박재호(남을)·최인호(사하갑)·전재수(북강서갑) 등 부산 재선 ‘3인방’은 물론 경남과 울산 의원들도 국토교통위 명단에서 제외됐다. 국토위는 PK 최대 현안인 동남권 관문공항뿐만 아니라 부동산과 교통 인프라 등 지역 현안 해결에 필수적인 상임위여서 PK 의원이 반드시 배치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전 국회에서도 관례적으로도 지역 안배 차원에서 국토위에 PK 의원을 최소 1명은 배치해왔다.

박재호·최인호·전재수 의원
국토위·산자위 명단서 제외
경남·울산 의원들 다소 우위

국토위는 박 의원이나 최 의원 중 가운데 한 사람의 입성이 점쳐지면서, 두 사람이 협의를 통해 최 의원이 맡는 것으로 교통정리가 됐음에도 막판 리스트업 과정에서 김태년 원내대표가 반대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아쉬움이 더욱 짙게 남는다. 최 의원은 지난 원내대표 경선에서 전해철 의원을 지원한 바 있다. 최 의원 측은 당시의 ‘앙금’이 이번 상임위 배분 과정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는 의구심을 보이고 있다.

지역 여권 관계자는 “국토위에 PK 의원이 한 명도 없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각종 현안 사업 추진 동력이 상실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PK 의원들이 그동안 이해찬 대표와 김 원내대표에게 지역 안배 차원에서 PK에 국토위 배분을 강하게 요구해왔다는 점에서 소속 의원들 간에 협의가 원만하지 못했다는 지적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부산 의원들과 비교해 경남·울산 의원들이 상임위 배정에서 다소 우위의 성적표를 받아든 것으로 보인다. 당초 국토위원장을 희망했던 민홍철 의원(김해갑)의 경우 국토위가 야당 몫으로 남으면서 대신 국방위원장을 맡게 됐다. 김두관(양산을), 김정호(김해을) 의원도 각각 기획재정위, 산자위에 배정되면서 핵심 상임위에서 의정활동을 펼치게 됐다. 이상헌 의원(울산 북)도 자신이 희망한 문화체육관광위에서 일하게 됐다.

21대 국회에서 지역구 국회의원 84명 중 32명을 배출한 PK 통합당 상임위 배분은 당 지도부의 원구성 보이콧(거부) 영향으로 일부 상임위원장이 선출된 이날 현재에도 ‘깜깜이’ 양상이다. 전체 통합당 3선 당선인 15명 중 8명이 PK 출신이라 최소 2개 이상의 위원장 자리가 유력했지만, 민주당과의 협상 결렬로 15일 현재 여전히 안개 속이다.

통합당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후 “원내대표와 수석부대표 등 극소수에서 명단을 짜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아직 공유되지 않았다”고 했다. 다른 관계자는 “개별 의원들에게도 어디어디가 거론되고 있더라 정도의 카더라 정보만 돌고 있어 답답한 상황”이라고 했고, PK 3선 의원 보좌관은 “상임위원장 배분 시나리오별로 명단이 존재하겠지만, 보이콧에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우리(통합당)쪽 명단이 공개되는 것도 이상해 지도부가 극비에 붙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문제는 부산 15명을 비롯해 통합당 PK 32명의 상임위를 원내지도부가 일방적으로 통보할 경우 지역 안배 등 내부 정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수적으로 당내 중심을 차지한 PK 통합당 의원들이 모든 상임위를 ‘커버’할 수 있음에도 ‘빈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당장 부산 지역 15명의 상임위 선호를 보더라도 환경노동위, 여성가족위 등은 없고, 정무위나 산자위 ‘쏠림’ 현상이 뚜렷하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