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미래 먹거리 수소선박 사업, 부산시만 ‘뒷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조선업계 대표적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수소선박’의 실증선(시범선) 건조사업에 각 지자체가 앞다퉈 뛰어들고 있지만, 정작 부산시는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지난 15일 울산에서 개발 중인 수소선박과 같은 모형의 선박을 울산시 공무원들이 시승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의 대표적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수소선박’ 산업이 첫걸음부터 타 지자체에 뒤처질 위기에 처했다.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의 관련 기술을 이용해 지자체가 실증선(시범선)을 건조하는 사업에 경남과 전남 두 지자체는 참여키로 했지만, 정작 부산시가 빠진 것이다. 센터는 여러 차례 부산시에 참여를 권고했지만 부산시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밝혀지면서, 부산시의 수소선박 개발 의지 부족에 대한 지적마저 일고 있다.

16일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에 따르면, 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선박용 고체산화물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소선박 실증선 건조사업을 진행한다. 센터가 국비 10억 원을 들여 선박용 수소연료전지를 설계하고, 이후 지자체가 센터의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한 시범선을 건조한다는 내용이다.

부산대 수소선박센터 기술 이용
전국적으로 실증선 건조 사업 중
경남·전남 등 타 지자체 적극 참여
부산시 “관련법 없어” 부정적 입장
부산대학 기술 타 지역서 빛 볼 판


지난 4월 사업 결정 이후 센터는 부산시를 비롯해 여러 지자체에 사업 참여를 타진해 왔다. 그 결과 경상남도와 전라남도가 참여를 확정하고, 지난 1일 첫 회의를 가졌다. 경남은 15t급 청항선(관공선)을, 전남은 10t급 레저선을 건조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두 지자체는 각각 15억 원씩 건조비용을 예산으로 책정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부산 지역 대학의 우수한 연구기술을 활용한 수소선박 건조에 정작 부산시는 무관심한 상황이다. 이제명 센터장(부산대 조선공학과 교수)은 “부산시에 수차례 시범선 건조사업 참여를 요청했지만 부정적인 반응만 돌아왔다”며 “결국 현재로선 경남과 전남 두 지자체와 사업을 진행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부산시가 수소선박 시범선 건조에 부정적인 이유는 두 가지다. 부산시 관계자는 그 이유에 대해 “수소선박은 관련법이 없어 선박이 만들어진다고 해도 운항할 수 없다. 여기에 더해 관공선을 운항하는 현장의 산하기관들이 안전 문제로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는 수소 선박을 꺼려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수소선박 전문가들은 이런 부산시의 이유에 대해 ‘설득력이 없다’고 지적한다. 우선 해양수산부가 올해 초부터 29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수소선박안전기준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수년 안에 수소선박에 대한 관련법과 안전기준이 제정될 것이라는 점을 꼽는다. 이제명 센터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선박이 완성되는 것은 이르더라도 2022년 말이며 2023년이 될 수도 있다”며 “수소선박 관련법은 늦어도 그 이듬해에는 제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새로운 기술에 대한 우려는 어떤 현장에서도 존재하는 것”이라며 “그것 때문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결국 새로운 기술 적용에 대한 의지 부족,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실제로 부산시가 제기한 여러 우려에도 불구하고 부산시를 제외한 여러 지자체는 앞다퉈 수소선박 실증선 건조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앞서 언급한 경남과 전남 외 울산시도 중소벤처기업부, 관내 기업들과 함께 지난해 말부터 수소선박 실증선 건조에 돌입했다.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의 실증선 건조사업이 부산시 참여 없이 진행될 경우, 부산 소재 대학 연구소의 앞선 수소선박 기술이 부산이 아닌 타 지역 조선업계에서 꽃피우게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신기술의 특성상 처음 한발 늦어지면 그것을 따라잡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이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조만간 관공선을 운용하는 산하기관들과 회의를 갖고 사업 참여 여부에 대해 재검토해 보겠다”고 해명했다.

김종열 기자 bell10@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