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래 먹거리 '수소선박' 사업 부산시도 적극 나서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시가 ‘수소선박’ 개발에 소극적이라는 소식은 부산의 미래를 걱정하게 하는 대목이다.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가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소선박 시범선 건조사업을 진행하면서 여러 지자체에 사업 참가를 타진했는데 막상 센터가 있는 부산시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 법규 미비와 안전 문제를 내세웠지만, 시대를 앞서가는 기술에 대한 감각이 부족한 게 아니냐는 우려의 시선을 거둘 수 없다. 이런 것 저런 것 다 갖춘 후에 도입하는 기술에 첨단이라고 이름을 붙일 수도 없거니와 후발 주자로서 남 꽁무니나 따라가는 신세가 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울산과 경남 모두 수소선박에 박차
부산시도 참여해서 벨트 형성해야

세계 각국은 현재 수소에너지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수렁에 빠진 세계 경제를 살릴 대안으로 수소 경제가 부상하면서 그 발걸음은 더 빨라졌다. 이는 지구를 병들게 한다는 이유로 갈수록 강화되는 탄소 배출에 대한 규제를 피할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신생 에너지를 연구 개발하고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가가치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경제적 효과도 무시 못 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때문에 G20 국가 중 11개 국가가 수소에너지에 대한 로드맵을 마련한 상태이다. 독일의 경우에는 부진한 경기를 진작하고 탄소 배출 감축 과제를 해결하는 이중의 효과를 기대하면서 최근 90억 유로를 수소 관련 인프라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부산의 인근 도시인 울산시는 수소선박 개발에 열의를 보이고 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많은 시민이 수소선박에 승선해 태화강 국가 정원을 유람하는 모습을 이른 시일 내 볼 수 있길 바란다”라며 관련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울산시는 이를 통해 오는 2023년까지 매출 3100억 원, 수출 290억 원 창출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와 같은 수소선박의 미래 가능성을 내다봤기에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역시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의 사업 제안을 받아들였다고 풀이할 수 있다.

따라서 부산시는 미온적인 수소선박 개발 태도를 바꾸는 게 옳다. 늘 해양수도를 부르짖는 도시가 다른 지역에 비해 앞서가도 시원치 않을 판에 뒤처진다는 건 체면이 서지 않는 일이다. 게다가 울산과 경남이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세 광역지자체가 연구와 생산 기능 등 각 도시의 장점을 살려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묘안을 짜내야 마땅하다. 여기서 부산시가 빠지거나 늦으면서 어떻게 부·울·경 동반 발전을 외칠 것인가. 부산 소재 대학 연구소의 선박 기술이 부산이 아닌 다른 지역 조선업계에서 꽃피울지 모른다는 걱정도 귓등으로 흘려들을 사안이 아니다. 시는 수소선박 사업 참여 여부를 재검토해야 한다. 한 번 벌어지면 따라가기가 쉽지 않은 게 신기술 격차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