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행정·IT서비스에도 ‘언택트 바람’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부와 지자체 등의 물자 조달 시스템에서 디지털 서비스에 특화한 전문계약제도가 도입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급성장하는 디지털서비스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코로나19로 언택트(비대면) 경제가 활성화하면서 이동통신사 매장도 무인화 바람이 부는 등 속속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언택트가 행정·IT 등 생활 전반에 광범위하게 대세로 자리 잡는 형국이다.

정부·지자체 조달 시스템에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 도입
LG유플러스, 비대면 매장 열어

정부는 23일 국무회의에서 정부·지자체 조달 시스템에 디지털서비스에 특화한 전문계약 트랙을 별도로 마련하는 내용을 담은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도입 방안’을 확정했다. 전문계약 트랙은 미리 선정한 디지털서비스 목록에서 수요기관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해 계약하는 방식이다. 입찰공고, 입찰, 낙찰자 선정, 계약체결로 이어지는 일반적인 조달 계약시스템과 다른 방식이다.

기획재정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조달청과 전문가로 구성된 디지털서비스 전문위원회는 서비스를 사전 심사·평가해 공공계약 대상이 될 서비스 목록을 작성한다. 수요기관은 작성된 디지털서비스 목록 중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된다.

정부는 이 방식을 활성화하고자 수의계약을 허용하고, 수요기관이 원하는 대로 계약조건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카탈로그 계약방식도 도입했다. 서비스 검색에서 계약까지 전 과정을 뒷받침하기 위해 9월까지 디지털서비스 전용 온라인 플랫폼도 구축할 예정이다.

코로나19 때문에 이동통신사 매장도 변신한다. LG유플러스는 오는 10월 서울 종로구에 ‘언택트 매장’과 새로운 체험형 매장을 연다고 23일 밝혔다. 언택트 매장에서는 키오스크(무인화기기)를 통해 고객의 단말 탐색, 상담, 개통 과정이 비대면으로 처리된다.

신용카드를 넣어서 개인 신분을 인증한 후 요금조회나 납부, 요금제 변경 등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고객이 단말이나 통신서비스에 궁금한 사항이 생기면 인공지능(AI) 챗봇, 화상상담 등을 활용하면 된다. LG유플러스는 이를 위해 9월까지 유심(USIM) 무인판매, 셀프 고객서비스(CS), 고객경험관리 등의 기능이 있는 키오스크를 개발할 예정이다. 다만 이 매장은 완전 무인은 아니고, 일부 직원이 매장에서 문의 사항에 응대하거나 단말 구매를 안내할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 역시 이르면 10월 서울 홍대에 무인으로 운영하는 ‘플래그십 스토어’를 개장할 예정이다.

송현수·박지훈 기자 songh@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