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시티 창원… 가장 경쟁력 있는 도시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허성무 통합 창원시장

경남 창원·마산·진해가 합쳐진 통합 창원시가 출범한 지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다. 2010년 이명박 정부의 행정구역 개편 방침에 따라 다소 급하게 출발하면서 초기 진통을 겪긴 했지만 통합 창원시는 비수도권 유일의 인구 100만 명 이상 기초지자체라는 상징성에 경남 인구·경제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메가시티’로서의 위상을 서서히 갖춰가는 중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 아래 첫 더불어민주당 출신인 허성무 시장이 2018년 취임한 이후 창원국가산단 스마트화, 강소연구개발특구·스마트 무인선박 규제자유특구 지정, 재료연구소의 연구원 승격 등 굵직한 숙원 사업들을 잇따라 성공시키며 산업구조 개편 등 지역경제 혁신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창원·마산·진해 통합 10돌 맞아
취임 전반기 2조 원 유치 등 성과
“특례시 법제화에 역량 집중할 것”

통합 10년을 맞아 9일 본보와 서면 인터뷰를 가진 허 시장은 지난 2년의 시정에 대해 “해묵은 현안을 걸림돌에서 디딤돌로 바꾸고, 창원형 정책으로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력을 다한 시간이었다”고 자평했다. 지난해 6월 5일 창원의 국내 첫 패키지형 수소충전소를 찾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수소산업특별시’ 비전을 저돌적으로 설명하는 허 시장의 모습은 이런 자부심이 근거 없는 ‘셀프 공치사’가 아님을 보여줬다. 당시 문 대통령은 수소충전소에 대한 세세한 기술적인 질문까지 막힘 없이 답변하는 허 시장에 대해 “수소 차량에 대해 완전 전문가가 되셨다”며 감탄하기도 했다.

허 시장은 지난 2년의 성과에 대해 자랑할 것이 많은 듯했다. “워낙 굵직한 사업들이 많다 보니 시민들이 체감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아쉬움이 있다”고 할 정도다. 그는 “조선, 자동차 등 주력 산업의 쇠락으로 침체에 빠진 지역 경제 반등을 위해 지난 2년간 창원시의 경제부흥 기반과 미래 경쟁력 강화에 시정의 초점을 맞췄다”면서 “그 결과, 재료연구소의 연구원 승격을 20년 만에 달성해 세계 3대 첨단소재산업 도시로 도약 기반을 마련했고, 지난 2년간 달성한 기업 투자유치 실적도 2조 75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국가산단의 스마트화, 강소연구개발특구와 스마트 무인선박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도 창원의 백년대계를 위한 새로운 미래 경쟁력이 될 것이라는 게 허 시장의 설명이다.

허 시장은 그러면서도 통합시 10년의 ‘현재’의 대해서는 냉정하게 진단했다. 그는 “인구 유출이 지속되고 있고, 지역내 총생산(GRDP) 감소, 재정자립도 하락 등 도시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지방의 쇠퇴라는 큰 파고를 창원시 역시 비껴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단적으로 통합 당시 110만 명을 바라보던 인구는 105만 명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허 시장이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은 특례시 법제화다. 허 시장은 “통합 당시 정부가 약속한 인센티브, 재정 지원은 대폭 축소됐고, 시청사 소재지, ‘NC파크’ 야구장 입지 선정 등 사안마다 3개 지역 간 갈등이 사안마다 표출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 내 갈등이 사그라들지 않는 것 또한 시민들이 통합 효과를 크게 체감하지 못한 데 근본 원인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허 시장은 “모든 역량을 총결집해 특례시 내용이 포함된 지방자치법 전부 개정법률안의 연내 국회 통과에 힘을 쏟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허 시장은 “10년 전 통합 창원시 출범은 지속가능한 창원이라는 큰 집의 밑돌을 쌓은 것이고, 지금부터는 통합 이후 더딘 경제성장 및 코로나19로 인해 무너진 지역경제의 각종 지표를 단기간 내 반등시키고, 정상화하는 데 속도를 내고자 한다”며 “창원이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도 가장 경쟁력 있는 도시로 나아가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