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F] 해운항만도 ‘혁신’ 시대… 드론과 로봇이 짐 싣고 내린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규세션4 해운항만금융

29일 WOF 정규세션4에서 해운·항만·금융 분야에 대한 발제 후 서강대 전준수 교수가 좌장을 맡아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정대현 기자 jhyun@

해운·항만 산업은 전통적인 아날로그 산업이다. 배에 화물을 싣고 항구에서 항구로 향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의 역할은 미미했다. 하지만 4차산업혁명, 디지털화의 물결 속에 해운·항만 산업도 새로운 항해를 준비하고 있다. 29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열린 세계해양포럼(WOF) 정규세션4 해운·항만·금융 세션의 키워드는 ‘혁신’이었다. 과거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의 해운·항만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지 않으면 산업 자체가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날카로운 분석이 2시간여의 세션을 가득 채웠다.

기술 발달 ‘자동화·간소화’ 대세
변화에 적응 못하면 산업 도태
금융도 ‘日 택스리스’ 도입 제안
부산항 미래와 방향 토론 ‘눈길’

기조 발제자로 나선 세계적인 물류 컨설팅회사 롤랜드버거의 오노즈카 마사시 일본 지부장은 “미래에는 인력 없이 물건을 운반하고 적재하는 자동화 시대가 올 것”이라며 “로봇이 사람을 대신하고 어떤 산업에서도 통용되는 디지털을 기반으로 하는 표준화가 진행된 상황에서 공유경제도 해운 물류 산업에 들어오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마사시 지부장은 자신의 저서 ‘로지스틱스 4.0’에서 언급한 자동화, 시스템을 넘어선 드론 로봇의 시대를 강조했다.

기술 발달과 함께 자연스레 물류 수단, 물류 이해관계자가 간소화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발제자로 나선 중앙대 국제물류학과 우수한 교수는 “선사들이 화주를 직접 만나 화물을 수주하는 시대에서 디지털 포워더, 플랫폼이 사람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며 “선사들이 화주를 유치하고 화주를 만나는 방법은 온라인 플랫폼을 강화하는 것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선사, 육상 물류 업체 등의 업무 분담이 무너지고 이해관계자 수가 급격히 감소할 날도 머지않았다”고 말했다.

변화를 예견하는 두 발제자의 날선 발표에 ‘글로벌 항만의 새로운 전략의 가속화’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이상식 부산컨테이너터미널(BCT) 부사장도 현장 상황을 설명하며 강하게 혁신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 부사장은 “부산항의 경우 신항 2-4, 2-5단계 부두를 자동화 터미널로 건설하기로 돼 있는데 기존 터미널 업그레이드와 함께 항만 기능 이외의 인프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 분야에서는 해운·항만 분야 활성화를 위해 일본식 택스리스(taxless) 제도의 국내 도입을 통한 산업 혁신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성낙준 한국해양진흥공사(KOBC) 투자진흥본부장은 “부산이 해양수도가 되고, 우리나라가 해양중심국가가 되려면 해운사에 대한 세제 혜택이 과감히 이뤄져야 한다”며 “해운사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선박 조달비용을 경감하는 일본식 택스리스 제도가 도입되면 해운업계가 살아나고, 이는 조선 산업 강화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해양금융 관점에서 해운산업의 혁신은 해운기업 신용도 상승 등으로 해운 금융 지원이 쉬워지는 등 궁극적으로 연쇄적인 선순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우영 법무법인 광장 대표 변호사는 “일본식 택스리스 제도를 도입하더라도 정부가 우려하는 세수 감소는 일어나지 않는다”며 “택스리스 제도가 선박금융 투자를 유인하는 효과가 큰 만큼 국내 도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날 세션에 참석한 토론자 중 부산항을 관리하는 부산항만공사(BPA)와 터미널 운영사인 BCT의 부산항 미래에 대한 시각도 여러 참가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박호철 BPA 글로벌사업단장은 “부산을 기점으로 연근해 선사들은 중국, 일본, 동남아 지역에서 출혈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부산항 내부적으로는 북항, 신항 분리 문제에 따른 효율성 제고도 필요해 이 문제들을 해결하고 개선하는 것이 부산항의 미래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부사장은 “항만, 항공, 철도가 연계된 서비스로 대형 화주를 유치하는 등의 큰 변화가 부산항에도 절실하다”며 부산항 인프라 확충을 통한 혁신만이 부산항, 국내 해운항만업계 생존 방안임을 강조했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