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언론, ‘프레임’ 벗어나니 내 인터뷰 보도 외면”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제 가덕신공항이다] 한 검증위원 본보에 격정 토로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정책위의장과 부울경 지역 의원들이 26일 오전 국회 의안과에서 ‘가덕도 신공항 건설 촉진 특별법’을 제출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kimjh@

국무총리실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의 지난 17일 '근본적 재검토' 결론에 대해 수도권 언론들이 일부 검증위원들의 부정적 반응을 전하면서 '결론에 문제가 있다'는 식의 단정적인 보도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26일 <부산일보>와 통화한 한 검증위원은 "여러 수도권 신문 인터뷰에 응했는데 내 의견이 자기들 '프레임'에서 벗어나니까 기사가 안 됐다"며 오히려 수도권 언론의 행태를 강하게 비판했다. 검증위의 논의 내용을 총체적, 객관적으로 전하기보다 결론을 흠집내는 일부 내용만 취사선택해 편향적인 보도를 일삼고 있다는 것이다.

김해신공항 검증 과정에 참여한 A 교수는 이날 통화에서 "그동안 수도권 신문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후 기사를 추적해왔다"며 "안전분과가 최종 보고서 의결 당시 보이콧에 나선 것처럼 (김해신공항안은 안전에 중대한) 문제가 있다는 게 안전분과 내 다수 의견임에도 수도권 신문들이 이러한 이야기에는 침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법제처 유권해석 외에도 여러 안전 문제가 제기됐는데, 이런 부분에 대해 심층적인 취재 없이 그저 검증위원장의 발표문만 보고, 정치적 판단을 내렸다고 속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A 교수는 부산·울산·경남과는 아무런 연고가 없는 수도권 지역 대학 소속이다.

위원 다수가 김해 안전 결함 우려
대부분 신문들 눈 감고 편향 보도
부울경 TF로부터 강한 압박?
사실 아닌데도 일방 주장 강조

또한 그는 일부 검증위원들이 수도권 언론과 진행한 인터뷰 내용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모 언론 인터뷰에서 검증위원들이 '검증위원 상당수가 부산·울산·경남(부울경)의 김해신공항 TF팀으로부터 상당히 강력한 압박을 받았다는 주장'에 대해 "나에게도 (수도권 언론들이) 압박을 받았냐는 질문을 많이 했다"면서 "그 부분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A 교수는 또 일부 검증위원이 자료 부족으로 인해 검증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보도와 관련, "내가 맡은 분야에 대해서만 말하자면 부울경에서는 충분한 자료를 다 제공했다"면서 "오히려 국토교통부의 자료가 부실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인터뷰에서 김해신공항을 '보완'하면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서도 "현실을 모르고 하는 말이다"고 반박했다. 그는 특히 검증보고서에서 김해신공항의 보완 요소로 거론된 '개항 시부터 서편유도로 건설'에 대해 "사실상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말했다. 그는 "서편 유도로가 만들어지게 되면 대한한공 데크센터를 옮길 수밖에 없다"며 "이곳은 민간기와 군용기 MRO(항공기 정비) 장소이기도 하지만 전략 자산인 '다목적 전술 무인항공기'가 생산되고 있어 이전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해공항의 여러 불완전 요소를 보완하는 데 비용이 크게 늘어날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보완을 할 수 없는 요소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동남권 관문공항의 최적지로 가덕신공항을 꼽았다. 대한민국과 부산의 백년대계 차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확장성인데, 가덕신공항이 이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다. 그는 "인천국제공항을 처음 만들 때 수요 예측치 어땠나. 보기 좋게 빗나갔다"며 "그럼에도 지금 인천국제공항이 세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할 수 있도록 확장이 가능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김해신공항 수요 예측치를 두고 정부는 2056년 2925만 명으로 계산하고 있다"면서 "이는 중국의 낮은 여권 보유율과 국내 노선 연결 이후의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값이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의 여권 보유율이 한 자릿수에 불과하지만 점차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어 추후 여객 수요는 급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분석 방식에 따라 최대 수용치는 다를 수 있지만 가덕신공항은 도래 시점이 앞당겨지더라도 추가 확장이 얼마든 가능하다"며 "이런 점이 간과돼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가덕신공항으로 가게 될 경우 접근성 저하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서도 "그런 지적대로라면 서울에서 접근성 높은 김포공항 확장 대신 왜 수도권은 인천국제공항으로 갔겠느냐"며 "똑같은 맥락으로 도로, 철도 등 건설을 통해 접근성은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반박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