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학 연구 성과-기업 기술 혁신, 지역 선순환 구조 아쉽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지역 대학과 기업 간의 산·학 기초연구 협력 성과가 다른 지역에 비해 저조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이 6일 ‘지역 혁신과 대학의 역할’ 산업&혁신 브리프에서 “부산지역 대학은 지식의 활용 측면에서는 대학이 기업과 일부나마 협력을 하고 있지만, 기술혁신 원천이 되는 기초·응용 연구 단계에서는 상호작용이 이뤄지지 않고 기술 개발 성과가 저조하다”고 분석했다. 부산 지역 대학은 단독 연구나 정부 투자 연구의 비중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지만, 협력 과제 비중은 평균보다 낮았고 연구비도 협력 과제의 경우 단독 과제의 10분의 1 수준으로 턱없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대학과 기업 협력이 글로벌 경쟁력
자체 점검·제도개선, 정책적 지원 절실

이번 연구처럼 대학이 지역 사회의 수요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지 못하는 점은 점검해야 한다. 대학과 혁신 주체인 기업 등 민간과의 연계가 원활하지 못하면 교류와 협력을 통한 기술 개발이나 이전, 미래로의 발전을 가로막게 된다. 대학과 교수의 평가 시스템 등 구조적인 측면의 개선이 시급하다. 지역 대학이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한 양적인 산학협력 실적 생산에만 주력하지는 않았는지 반성해야 한다. 보여주기, 일회성 산학협력은 지역 기업에 도움이 되는 깊이 있는 기반 기술 개발로 이어지기 어렵다. 현재 평가 제도로는 국가 연구개발(R&D)이나 교수의 개인 논문 1~2편이 기업에 큰 힘이 되는 기술 개발보다 훨씬 유리하다. 대학이 각자 생존을 위해 무한 경쟁을 벌이면서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한 의미 있는 정보 공유와 실제 협력은 얼마나 하고 있는지도 따져봐야 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급성장한 대학과 지역은 대부분 실질적인 산학협력에 기반을 두고 교육 방식, 창업, 성과 발표, 현장 실습 등 시스템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실행한 곳이다. 시대 변화에 맞춰 산학협력 통합 플랫폼 구축을 비롯한 공동기술 개발, 기술사업화, 창업 등 실질적인 협력이 활발해져야 지역 기업과 대학, 나아가 부산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이 단순히 ‘학문의 상아탑’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보다 적극적으로 기업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지역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할을 찾아야 한다.

지역 대학과 기업이 각자의 역할과 강점에 맞게 협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것도 절실하다. 지식 생산과 응용, 활용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연구 협력 지원 정책을 정부가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시장에서 성공하는 기술 개발 협력 사례에 대해서는 전폭적인 지원과 평가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지역의 발전은 결국 대학, 기업, 지방정부 등의 혁신 역량이 얼마나 유기적으로 운영 되느냐에 달려 있다. 실질적인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대학 스스로의 혁신과 세밀한 정책 추진이 절실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