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그린뉴딜, ESG 그리고 ‘해운대 그린시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홍순헌 부산 해운대구청장

2021년 새해,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국은 저성장시대의 새로운 ‘경기 부양책’으로 그린뉴딜(Green New Deal)을 선택하고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후 변화, 기후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저탄소 사회, 친환경 경제로 나아가야만 사람-환경-성장의 조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외 기업의 가장 중요한 이슈도 ‘ESG’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한다. 생태계 위기로 팬데믹이 반복된다면 기업의 지속 가능성도 어느 한순간 무너질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코로나 이후 ‘친환경 경영’만이 새로운 성장동력이 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행정 또한 마찬가지다. 모든 행정의 중심에 사람과 환경을 두는 패러다임 이동이 일어나고 있다.

부산 최초 계획도시, 좌동 신시가지가 조성 25년 만에 ‘해운대 그린시티’라는 새 이름을 찾았다. 겉으로는 아파트가 밀집한 콘크리트 숲처럼 보이지만, 해발 634m 장산 아래 생태하천으로 거듭난 춘천이 흐르고, 아파트 사이사이 크고 작은 공원이 숱하다. 게다가 ‘수소연료전지발전시설’을 갖춰 신재생에너지인 수소를 활용해 난방열을 공급하고 있다. 친환경 녹색도시인 신시가지가 그린뉴딜 시대를 선도할 것이라는 의미로 주민과 함께 ‘해운대 그린시티’라는 새 이름을 선정하게 됐다.

지난해 12월 ‘신시가지 지속가능한 도시성장 구상용역’에도 착수했다. 명칭 변경은 새롭게 재탄생하는 신시가지 조성의 첫걸음인 셈이다.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완성하고자 하는 해운대 그린시티의 미래는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주거와 일자리를 갖춘 ‘자족형 도시’다. 신시가지는 도시 인구가 급격히 팽창하는 1980년대 후반, 주택 부족과 부동산 안정화를 위해 만들어졌다. 부산은 당시 주택보급률이 58% 수준으로 전국 대도시 중 최하위권이었다. 7년간 개발 끝에 1996년 첫 아파트 입주와 함께 인구가 급격히 늘면서 사실상 2000년대 초 해운대 발전을 견인했으며, 성공적으로 개발된 계획도시로 꼽힌다.

하지만 지역 내 일자리가 부족해 당시 주력 인구였던 20~40대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그대로 머물고, 새로 태어난 젊은 세대는 일자리를 찾아 떠나다 보니 인구는 줄고 도시는 점차 노령화되고 있다. 이런 베드타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시가지 조성 당시 제외됐던 제척지와 유휴부지를 모두 찾아내고 송정, 청사포 등 주변 지역까지 아우르는 토지와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구상해 일자리가 있는 자족 기능을 가진 도시로 재창조할 계획이다.

둘째, 누구나 살고 싶은 쾌적한 명품 주거지로서의 명성 회복이다. 현재 준공 30년 이상 된 건물은 없어 재건축 대상은 아니지만 15년 이후부터 리모델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리모델링 대상 여부를 검토하고, 재생방안을 구상해 나가겠다. 서울시와 경기도 제1기 신도시의 선도적인 리모델링 사례를 벤치마킹해 관련 규정 정비와 부산시 리모델링 조례 제정도 촉구할 계획이다. 부산에는 해운대 신시가지 외에도 조성된 지 10년이 넘은 북구 화명동, 정관 신도시 역시 노후화에 대비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즉, 해운대 신시가지 문제는 해운대만의 문제가 아니며 부산 전체 신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확보의 출발점이자 숙제라 하겠다.

셋째, 그린뉴딜 시대를 선도하는 스마트도시이다. 노후화된 기반시설의 대대적인 재정비와 생활 SOC 확충뿐 아니라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안전, 교통, 환경, 복지, 관광 등 모든 분야에 접목해 주민들이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스마트 수·재해 예측 시스템 도입, AI를 활용한 교통신호 최적화와 주차면 관리, IOT 기반 미세먼지 모니터링과 전기충전소 확대, 블록체인을 활용한 병원 간 진료정보 공유 등이 그것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