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잇단 재산 절반 사회 환원, 기부·기업문화 바꾸는 계기 돼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이사회 의장이 재산 절반 이상을 사회에 환원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김 의장은 국내 배달 앱 시장점유율 1위 업체인 배달의민족 창업자다. 그의 자산 가치가 1조 원대에 이른다고 하니 못해도 5000억 원 이상 기부할 것으로 보인다. 얼마 전에는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역시 재산 절반 이상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기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비슷한 경제 규모를 가진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에선 기업의 기부문화가 그다지 성숙하지 못했는데 이렇게 좋은 뜻을 가진 자수성가 창업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반가운 일이다. 이를 통해 우리 재계에 새로운 기부 풍토가 정착되길 바란다.

김봉진 등 “사회문제 해결 위해 기부”
사회적 책임 다하는 기업 모범 보여

김봉진 의장은 더기빙플레지(The Giving Pledge)를 통해 기부를 선언했다. 더기빙플레지는 2010년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과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이 재산 환원을 약속하면서 시작된 자발적 기부운동 클럽이다. 재산이 10억 달러가 넘어야 가입 대상이 되고, 재산의 절반 이상을 기부해야 한다. 그저 돈이 많다고 무조건 가입시키지는 않는다. 사회적 지위, 과거 기부나 자선 실적, 주변 평판 등 오랜 기간 까다로운 심사 과정을 거쳐야 한다.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회원으로 선정되면 약정한 기부 이행 과정을 꼼꼼하게 증명해야 한다. 김 의장의 기부 선언이 남다르게 보이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우리나라 재계에서 그간 거액의 재산을 사회에 기부하는 일이 적지는 않았다. 재벌 총수들이 사재를 출연해 공익재단을 설립해 운영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일부 재단의 경우 상속세 등을 탈루하기 위해 설립했다거나, 그 운영을 지나치게 사유화해 사실상 재산 도피처로 활용한다는 따가운 눈총을 받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김봉진 의장이나 김범수 의장의 기부는 그 목적을 교육 불평등 해소 등 사회문제 해결이라고 특정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보인다. 기업을 개인의 소유로 보지 않고 경영권 승계에 대해 선을 긋고 있는 점 역시 눈에 띈다. 자산가의 부의 대물림이 당연시돼 온 우리 사회에서는 흔치 않은 일이다.

흔히 ‘기업은 사회적 공기(公器)’라고는 하지만 재벌 등 기업을 보는 시각이 아직 마냥 곱지만은 않은 게 우리 현실이다. 분식회계나 탈세, 편법 상속 등 기업들의 불법적이거나 비도덕적 경영에 대한 일반인들의 반감이 큰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제가 쌓은 부가 개인의 능력과 노력을 넘어선 수많은 분들의 도움에 의한 것”이라는 김봉진 의장의 고백은 곱씹을 만하다. 성공한 기업인으로서 사사로운 성과를 내세우기보다 기업의 사회적 관계와 역할, 책임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되기 때문이다. 김봉진 의장 등의 재산 사회 환원 약속이 기부 풍토 정착은 물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 문화 형성에도 크게 기여하길 기대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