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동원령 vs 각개전투… 여야 선거전 ‘다른 길’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인해전술’ vs ‘각개전투’

41일 앞으로 다가온 4·7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임하는 여야의 대조적인 선거 방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중앙당 차원의 모든 역량을 투입해 부산시장 보선에 집중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당 지도부 차원의 지원보다 후보 개개인이 집권세력의 총공세에 맞서고 있는 형국이다. 최근 부산시장 후보 선호도와 정당 지지도에 ‘의미 있는 변화’가 시작된 이유이다.

민주, 모든 역량 쏟아 승리 올인
정책 선물 풀고 전국 인력 투입
정당 지지도도 덩달아 상승 중
국민의힘, 당 차원 지원은 전무
호남 공략용 당규 신설에 집중

민주당을 포함한 현 집권세력은 부산시장 보선 승리에 올인한 상태다. 마치 민주당 중앙당사를 부산으로 옮겨 놓은 듯한 모습이다. 중앙당과 전국 시·도당의 가용인력을 부산에 투입하고 있고, 부산 경제발전과 직접 관련된 ‘선물 보따리’를 집중적으로 풀어놓고 있다. 야당 부산시장 후보에 대한 무차별 공세도 계속하고 있다. 일부 여당 인사는 국민의힘 부산 정치권을 주저 없이 ‘토착 비리 집단’으로 매도하고 있다.

24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개최된 민주당 최고위원회의는 ‘부산시장 보선 필승결의대회’를 연상케 했다. 이지우 가덕신공항시민추진단 상임대표가 26일 국회 본회의 통과를 앞둔 가덕신공항특별법에 감사의 인사를 전하자, 이낙연 대표는 “부울경 시·도민 여러분의 갈망을 천금처럼 무겁게 받아들이겠다”고 화답했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이명박 정부 국정원 사찰 논란과 관련해 박형준(국민의힘) 부산시장 후보를 직접 거명하며 “사찰 보고서를 보지도 듣지도 알지도 못한다고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부산지역 정·관·경 토착비리조사특위’ 위원장을 맡은 신동근 최고위원은 부산 정치인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면서 “필요하다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중앙당 차원의 ‘총동원령’도 내린 상태다. 이낙연 대표와 김태년 원내대표는 25일 부산을 찾는다. 정당 지도부가 한 달 사이에 두 번이나 특정 지역을 방문하는 것은 전례가 드문 일이다. 부산에 연고를 둔 40여 명의 현역 의원들로 구성된 민주당 ‘부산 갈매기 의원단’은 다음 달 7일 부산을 방문한다. ‘부산의 사위’로 통하는 이광재(강원) 의원은 민주당 부산시당 미래본부장을 맡았다. 부산을 제외한 민주당 전국 시·도당에선 조직과 자금을 부산시장 보선에 대거 투입한다.

정책 지원도 예사롭지 않다. 국토교통부는 24일 1차 신규 공공택지 공급 계획을 발표하면서 부산 강서구를 포함시켰다. 부산 대저지구에 1만 8000호의 주택을 공급하게 된다. 정부는 26일 코로나19 백신접종에 돌입하고, 3월 중에 20조 원 규모의 4차 재난지원금도 지급한다.

이와 달리 국민의힘은 당 차원의 지원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서병수 김기현 윤영석 하태경 의원 등 국민의힘 부울경 중진들이 국정원 사찰 논란을 비난하는 성명을 개별적으로 발표하고는 있지만 조직적인 대응은 없다. 오히려 고위 당직자의 한 측근은 “현재까지 당 차원의 대응을 검토할 상황이 아니다”고 말하기도 한다. 물론 당 소속 초선 의원들이 25일 부산·서울시장 후보들에게 “정책과 비전으로 품격 있는 선거를 치르자”고 촉구하거나 당 공천관리위가 후보들 간의 인신공격 자제를 요구할 예정이지만 어디까지 ‘당내용’에 불과하다.

오히려 국민의힘은 이날 ‘비례대표 당선권 25%에 호남 인사를 우선 추천한다’는 당규를 새로 만들 정도로 ‘호남 공략’에 집중한다.

이런 여야의 차별화된 선거방식은 부산민심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부산MBC·부산KBS·리서치앤리서치가 21~22일 실시한 여론조사(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에서 부산지역 민주당(34.7%) 지지도가 국민의힘(34.2%)을 오차범위 안에서 근소한 차이로 앞섰고, 아시아경제·윈지코리아 조사(20~21일)에서도 국민의힘(33.2%)과 민주당(30.6%) 지지율이 비슷했다. ·YTN·리얼미터 조사(1월 31일~2월 1일)때 국민의힘(38.6%)이 민주당(25.9%)을 압도적으로 앞섰던 것에 비하면 민주당 지지도가 급상승한 것이다. 부산 민심에 적잖은 변화가 생긴 것이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