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 분야 대일 의존도 역대 최저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일본, 수출 규제 시행 2년 맞아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 규제 시행 2년이 다가오는 가운데 소재·부품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대일 의존도가 역대 최저치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7월 4일 일본의 대한국 수출 규제를 계기로 정부와 국내 기업들이 소재·부품 분야에서 경쟁력 강화와 공급망 안정화 등을 추진한 결과로 풀이된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 종합정보망’에 따르면 올해 1∼4월 한국의 소재·부품 누적 수입액 647억 9500만 달러 가운데 일본 제품은 96억 9600만 달러로 15.0%를 차지했다.

이 같은 비중은 작년 같은 기간 16.1%보다 1.1%포인트(P) 낮아진 수준이며,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1년 이후 역대 최저치다.

일본 소재·부품 수입 비중은 2003년 28.0%로 최고점을 찍은 뒤 차츰 낮아져 2014년 18.2%를 기록했다. 이후 17%대에 머물다가 2019년 15.9%로 떨어졌다. 반면 대만 수입 비중은 지난해 8.3%에서 올해 9.3%로 올라갔고, 중국 수입 비중도 29.1%에서 30.1%로 높아졌다.

정부는 2019년 7월 4일 일본이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소재인 불화수소(에칭가스), 포토 레지스트, 불화 폴리이미드 등 3개 품목에 대해 대한국 수출제한 조치를 시행하자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을 발표하고 관련 기술 국산화 지원과 투자, 공급망 다변화에 적극 나섰다. 이에 일부 기업들이 반도체 관련 장비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핵심 품목의 수입처도 다변화되는 성과도 거뒀다.

그러나 일본과의 소재·부품 교역에서 한국의 무역적자는 더욱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올해 1∼4월 일본과 소재·부품 교역에서 53억 9600만 달러의 적자를 냈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7억 900만 달러 확대된 수치다.

한국은 올해 1~4월, 일본에 작년보다 6.2% 늘어난 43억 달러를 수출했지만, 수입액(96억 9600만 달러)은 수출액의 배가 넘었다. 품목별로 보면 전자부품(19억 200만 달러), 일반기계 부품(64억 4000만 달러), 화학물질·화학제품(13억 100만 달러), 고무·플라스틱 제품(5억 7800만 달러) 등의 적자 폭이 컸다. 송현수 기자 songh@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