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부산시, 유학생 유치에 적극 나서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홍길 경남정보대 호텔관광경영계열 교수

최근 부산시의 인구는 1년 만에 4만 명이 감소했고, 그 중 2030세대가 2만 6000명을 차지해 젊은 층의 인구감소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로 지역대학 생태계 위기 우려가 교육계를 감싸고 있다. 교육계뿐만 아니라 광역시 중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부산의 미래 경제에 대한 걱정도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소멸을 막고, 대학의 입학자원 확보와 부산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 지역 거주 맞춤형 유학생 유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지난 5월, 정부의 ‘제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에 따라 부산시는 대학혁신사업으로 ‘해외 유학생 유치를 위한 아세안 유학생 융·복합 거점센터 건립’을 내세워 유학생 유치 방안을 발표했다.

또 박형준 부산시장도 부산지역 대학 총장과의 지역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간담회에서 ‘유학생 공동 유치 특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우수 유학생 공동 유치 의지를 내비쳤다.

지역 산업단지와 기업에 필요한 외국인 인력을 지역대학에서 맞춤형 인재로 양성해 졸업 후 취업과 함께 정주시키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현재 정부 인구정책 태스크포스팀에서 검토 중인 외국인 유학생 국내 체류허가 제도를 부산시와 대학과 산업계를 연계한 거버넌스를 구축, 지역산업에 필요한 기능인력으로 양성하는 방향의 유학생 유치 전략으로 추진해야 한다.

부산은 글로벌 명품 교육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고 유학생의 불법체류 감소와 노동 인력 부족 문제 해소 등이 해결되면서 대학은 줄어든 입학자원을 확보하고 학령인구 감소로 직면한 위기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게다가 지구촌의 한류 현상은 한국을 배우려 신남방·신북방 국가 등에서 오는 유학생을 유치하고 산업계와 연계 교육을 통해 졸업 후 국내에 정주시키는 직업교육 맞춤형 전략으로 부산이 글로벌 명품 교육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도 될 수 있을 것이다.

부산지역 전통산업의 고숙련 인력 고령화와 청년층 진입 기피 등으로 생산·제조현장 전반의 생산성 저하가 심각하다. 경력단절 여성의 사회복귀를 돕기 위한 실버 헬스케어와 돌봄서비스 강화 등을 통한 복지의 사각지대 해소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인력수급 미스 매치를 파악한 후 지역사회·산업체·대학이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정부는 기능·노동 인력 부족 직군에 대한 국내 체류형 유학생 고용허가제를 확대하고, 지역에 계속 거주를 조건으로 외국인에 체류 혜택을 제공하는 지역특화형 비자도 신설해야 한다. 부산시는 이주민 사회통합과 정착 지원, 인프라 구축으로 유학생의 전략적 활용 방안과 정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물론, 국민 일자리 잠식 분야는 인력 수요를 예측하면서 점진적으로 노동시장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내국인의 노동시장 잠식이 우려되는 분야와 비자 목적 외 활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법 집행으로 불법체류를 차단해 국민이 공감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부산시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과 산업계 맞춤형 인력양성 차원에서 중·장기 유학생 유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1.5~2배에 달하는 월급을 주고서라도 한국인 인력을 구하려는 기업도 있다. 그러나 젊은 외국인 노동자 외엔 대체할 인력이 마땅치 않아 ‘월급 더 줄게 제발 떠나지 마’라고 외국인 근로자를 붙잡는 중소기업 사장들의 목소리를 반드시 귀 기울여 들어야 할 시점이다.

지역대학이 중심이 된 산·학·관 거버넌스를 통해 지역산업 수요 맞춤형 기능 인재 확보를 위한 부산시의 적극적이고 세밀한 유학생 유치정책이 반드시 추진되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