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포함한 동남문화권,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난달 부울경 광역문화재단 협의회 출범 모습. 부산일보DB

우리는 부산을 아는가. 그리고 부산을 포함한 동남권을 어떻게 변화시켜 나가야 하는가. 인본사회연구소가 7~8월 8차례에 걸쳐 열고 있는 제1기 인본부산고고아카데미의 지향이다. 부산의 정치와 경제, 역사와 현재를 알아보는 강좌로 구성돼 있다.

제1기 인본부산고고아카데미
문화·경제·역사 등 8차례 강좌

전 부산문화재단 대표인 남송우 부경대 명예교수가 7일 ‘부산을 넘어 동남문화권으로의 방향성’을 주제로 제1강을 펼쳤다. 내년 1월 부울경 광역특별연합의 출범에 앞서 800만 명을 하나로 묶는 부울경 문화권을 어떻게 구축해야 하느냐에 대한 ‘큰 그림’이었다.

남 명예교수는 “부울경 문화재단 실무자들이 모여 동남문화권의 정체성을 어떻게 구체화해 나갈지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야 한다”며 “이를 위해 부울경 지역문화 정책연구소 또는 지역문화 정책위원회를 꾸려야 한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동시에 “부울경 각 지역에서 기초문화재단을 빨리 설립해야 하는데 이는 부울경 곳곳에 골고루 문화향유를 가능케 하는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기초문화재단 현황을 보면 서울 22개, 경기 22개, 대구·경북 17개인 데 반해 부울경은 통틀어 고작 10개에 불과하다. 그래서 부울경의 지방문화원 39개(부산 14, 울산 5, 경남 20)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해서 기초문화재단을 만들거나 곳곳의 문화 욕구를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남 명예교수는 “지역문화 분권을 위해 전국 단위의 지회 형식인 예총·민예총 조직을 하나의 새로운 동남권 조직으로 만드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이렇게 지역문화 분권을 강하게 추진해야 하는 것은 국가 수준의 지역문화 분권이 헛구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2014년 10여 년을 질질 끈 뒤에 가까스로 제정된 지역문화진흥법에서도 지역문화진흥의 주체는 ‘지역’이 아니라 ‘중앙정부’이며, 이 법에 의해 설치된 지역문화재단은 중앙정부·지자체가 수립한 사업을 수탁 받아 집행하는 기관으로 전락해 있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지역문화 진흥의 주체를 지역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1기 인본부산고고아카데미는 8강 구성 중 5차례 강좌가 현장탐방을 곁들여 꾸며지고 있다. 17일 ‘부산의 뿌리를 찾아서’(박화진 부경대 교수)는 복천박물관서 열렸으며, 이어 31일 ‘부산 해양산업의 현황과 과제’(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는 부산항만공사, 8월 7일 ‘환경생태의 지속적 보존과 에너지 자립도시 부산을 위하여’(구자상 기후변화대안센터 공동대표)는 학리기후변화대안교육센터, 8월 14일 ‘시대정신의 대전환: 대륙성에서 해양성으로’(김태만 국립해양박물관 관장)는 국립해양박물관, 8월 21일 ‘시민과 함께하는 부산브랜드 높이기’(김해창 경성대 교수)는 조선통신사역사관에서 진행한다. 다른 강좌는 인본사회연구소에서 진행하는데, 21일 ‘대한민국 정치1번지 부산의 정치적 선택과 지역정치의 변화’(차재권 부경대 교수), 8월 25일 ‘메가시티의 비전과 설계’(김영춘 전 해양수산부 장관)가 그것이다. 1강좌 1만 원. 051-818-9747.

최학림 선임기자 theos@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