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 비토섬 발견 새 발자국 화석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 중 最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사천 비토섬에서 발견된 1억1000만 년 전 물갈퀴새 발자국 화석. 진주교대 김경수 교수 제공

지난 2013년 경남 사천시 서포면 비토섬에서 발견된 ‘물갈퀴가 있는 새 발자국 화석’이 그동안 확인된 새 발자국 화석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밝혀졌다.

진주교대 한국지질유산연구소
학술지 ‘백악기 연구’에 발표
“1억1000만 년 전 중생대 화석”

진주교육대 부설 한국지질유산연구소(소장 김경수 교수)는 경남 사천시 서포면 비토섬에서 발견한 1억1000만 년 전 물갈퀴가 있는 새 발자국 화석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인 ‘백악기 연구(Cretaceous Research)’에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은 중생대 쥬라기 후기에 시조새가 처음 출현한 이후로 새들이 진화를 거듭하면서 1억1000만 년 전에 물가에 적응한 것을 보여준다. 특히 이 새 발자국 화석은 현재까지 알려진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들 가운데 가장 오래된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이라고 김 교수는 주장했다. 비토섬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은 2013년 발굴조사를 거쳐 현재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에 보관돼 있다.

이 화석은 2013년 진주교육대 석사과정에 재학하던 강승협 교사(경남 산청 덕산초교)가 최초로 발견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중생대 백악기 새 발자국 화석이 가장 많이, 그리고 가장 다양하게 발견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1969년 경남 함안군 용산리에서 국내 최초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새 발자국 화석이 발견돼 한국 함안새로 명명됐다. 이후 경남 고성군, 남해군, 진주시, 전남 해남군, 여수시 등지에서 중생대 백악기 새 발자국 화석들이 잇달아 발견됐다. 지금까지 알려진 중생대 새 발자국 화석은 모두 9종이다. 이들 새 발자국 화석은 모두 1억 년 전 ~약 7000만 년 전 새들의 발자국이다. 이번 발견을 통해 우리나라에서는 1억1000만 년 전부터 새들이 서식했다는 것이 확인된 셈이다.

이선규 기자 sunq17@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