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진출로 정체로 사흘에 한 번꼴 사고 ‘공포의 윤산터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곡동 방향 신호 짧아 ‘병목’ 추돌 등 개통 후 매달 10건 이상 부산시,중앙대로 확장 추진해도 2년 이상 ‘아슬아슬’ 계속 될 듯

22일 오후 부산 북구와 금정구를 잇는 윤산터널이 부곡동 방향으로 빠져나가려는 차량들로 정체를 빚고 있다. 강선배 기자 ksun@

부산 북구와 금정구를 잇는 윤산터널이 지난해 개통 이후 매달 평균 10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할 정도로 위험천만하다. 짧은 출구 탓에 터널 안에서 차량 정체가 빚어져 추돌 사고가 이어지고, 과속 중 급히 차로를 변경하다가 사고가 발생한다. 신속한 안전 대책이 없을 경우, 터널에서 자칫 대형 참사가 날 수 있다.

부곡동 방향 신호 짧아 ‘병목’
추돌 등 개통 후 매달 10건 이상
부산시,중앙대로 확장 추진해도
2년 이상 ‘아슬아슬’ 계속 될 듯

22일 오후 <부산일보> 취재진은 금정구 회동동에서 윤산터널에 진입해 북구 화명동 쪽으로 향했다. 터널 입구에 들어선 지 얼마 안 돼 차량 정체가 시작됐다. 부곡동 방향으로 빠져나가려는 차량이 2차로에 길게 늘어선 것이다. 멈춰선 취재진 차량 옆으로는 화명동 방면으로 가는 차량이 무서운 속도로 쌩쌩 스쳐 지나갔다. 통행량이 비교적 많지 않은 시각이었는데도 취재진 차량은 가다 서다를 반복하다가 약 10분 만에 겨우 터널을 빠져나올 수 있었다.

22일 부산시설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금정구 윤산터널 개통 이후 지난달까지 터널 내부에서 교통사고가 159회 발생했다. 매달 평균 10.6건, 사흘에 한 번꼴로 교통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지난 18일에도 화명동 방향으로 진행하던 차량이 부곡동 진출로로 진입하기 위해 급정거를 하려다가 뒤따르던 차량에 받혀 2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부곡동 출구 바로 앞쪽에 중앙대로와 만나는 교차로가 있다. 차량이 조금만 몰려도 터널 안에서 신호대기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시내로 빠져나가기 위해 급격하게 차로를 변경하거나 끼어들기를 시도하는 차량 때문에 추돌 사고가 일어난다. 특히 이 같은 추돌 사고는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터널의 특성상 자칫 연쇄 사고나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도로교통법 제 22조에 터널 내에서 앞지르기를 금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회사원 노 모(51·남구 용호동) 씨는 지난달 19일 오후 금정구 부곡동 아버지 집에 가려다가 윤산터널에서 큰 사고를 낼 뻔했다. 초행길이었는데, 시원하게 뚫린 길을 달리다가 부곡동 쪽으로 나가는 지점 옆에서 급정거를 했다. 부곡동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차선변경을 해야한다는 사실을 늦게 깨달았기 때문이다. 노 씨의 차량을 뒤따라 오던 차도 급정거를 했다. 하마터면 연쇄 추돌로 대형 사고가 발생할 뻔 한 상황이었다. 노 씨는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심장이 마구 뛰는데 그 뒤로는 이 터널을 이용하지 않는다”며 “도로 구조가 아주 위험한데 출구 쪽 차로를 좀 더 일찍 내어줄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택시기사 이 모(63) 씨도 윤산터널이라면 고개를 흔든다. 이 씨는 “윤산터널 사고를 자주 목격하는데 사고가 났다하면 보통 3~4대씩 사고가 나 매우 위험하다”며 “신호가 너무 짧아 출구가 항상 병목현상을 빚는 데도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해부터 윤산터널 내 사고 문제가 불거지자 부산시와 부산지방경찰청 등은 신호체계 개편 등 여러 대안을 검토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부산시는 윤산터널 이용 차량이 원활히 시내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현재 35m 수준인 중앙대로의 도로 폭을 50m로 확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 방안도 오는 8월부터 토지 보상절차에 들어가는 등 겨우 걸음마를 뗀 수준이다. 확장까지는 2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신호체계 개선을 검토하던 부산경찰청도 중앙대로 확장이 먼저 이뤄지지 않으면 신호체계 개편이 어렵다는 입장을 내놨다. 부산지방경찰청 교통시설운영계 관계자는 “체증을 덜기 위해 우회전만 허용하는 대안이 제시됐지만 해당 진출로에서 빠져나오는 차량 중 75% 이상이 좌회전·직진 차량이어서, 대신 신호시간을 45초가량으로 늘려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방안을 택했다”고 말했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