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지방대학의 살아남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성호 경남정보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올해 9월이 되면 대학마다 입시전쟁이 벌어질 것이다. 현재 대학의 위기는 학령인구 감소, 코로나 이후의 비대면교육, 4차산업혁명, 지역소멸 등이라고 전문가들은 이야기한다. 역으로 발하면 이러한 변화를 극복하지 못하는 대학들은 자동 소멸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이다, 대학의 지속 발전은 불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다.

올 한해 신생아 수는 25만 명이 넘지 않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면 20년 후에는 대학진학률 60%만 감안해도 15만여 명이 입학한다. 그러면 현재 기준으로 해도 입학자원이 70%로 감소하여 130여 개 대학이 향후 20년 안에 문을 닫아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러한 것이 물론 일반적인 계산상의 추정치이기 하지만 심각한 현상임에는 틀림없다. 이러한 현상은 지방일수록 더욱더 빨라질 것임에는 분명해 보인다. 그러면 과연 지방대학들은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를 고민할 시점이다.

이제 대학은 소비자인 학생과 학부모에게 적극적인 마케팅을 해야 한다. 찾아오는 대학에서 찾아가는 대학으로의 전환이다. 소비자의 니드(Need)에 맞게 상품을 만들어야 한다. 옛날의 전성기처럼 우후죽순 학과를 만들어 제품을 선보이기보다는 유사 중복학과의 통합과 구조개혁을 통해 정원을 조정하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개성 있는 학과를 신규 개척해야 한다. 각 대학 실정에 맞게 한두 가지라도 특성 있는 대학 브랜드를 만들어야 한다.

코로나19를 통해 비대면 강의가 이제는 일상화되었다. 앞으로는 대학마다 대면, 비대면 강의가 함께 이루어질 공산이 크다. 따라서 각 대학이 비대면 강의의 질적 향상을 가져다주지 못하면 소비자로부터 외면받을 것이다. .

교육부가 대학의 자율을 간섭하고 대학은 교수의 자율을 간섭하는 형태가 되면 수동적 가르침과 행정 편의주의의 행정밖에는 되지 않는다. 교육부는 지방대학만이라도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자율성이란 입학정원의 자율, 등록금의 자율, 행정과 재정의 자율을 법적 테두리 안에서 최대한 보장하여 지방대학이 특성에 맞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보장하고 성장하든지 도태되든지를 판단하면 될 것이다. 이제는 각종 규제로부터 자율성 보장으로의 전환으로 퇴로를 만들어 줘야 하는 시점이다.

지방대학은 지역과 함께 성장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각 대학은 지역 발전의 역할을 함께 담당해야 한다. 산·관·학의 연계로 졸업 인재들의 취업 활동, 기업의 발전을 위한 연구지원 활동,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등을 통한 지속 발전의 트라이앵글을 만들어야 한다.

지방의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역할을 분명히 해야 한다. 전문대학은 직업실무 평생교육중심의 대학으로 4년제 대학은 학문연구중심의 대학으로의 전환이다. 전문대학은 빠른 취업을 위한 직업 실무교육의 학령기 중심과 산업체 재직자 재교육 및 여성 고령자 재취업교육, 평생교육으로의 전환으로, 4년제 대학은 학문연구중심의 학과를 통한 학령기중심과 전문대학에서의 편입학을 통한 연구중심교육으로의 전환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제 지방대학에 허락된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 변화와 개혁은 실천할 때 가치가 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