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나 접종 후 숨진 20대, 질병청이 혈전증 검사 거부했다

조경건 부산닷컴 기자 pressjk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모더나사의 코로나19 백신병. AP연합뉴스 모더나사의 코로나19 백신병. AP연합뉴스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숨진 20대가 혈전증 증상을 보였을 때 지역 방역당국이 질병관리청이 질병관리청에 검사를 의뢰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질병청은 사망과 백신 접종과의 인과성을 조사 중이지만, 생전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탓에 이를 밝히기 힘들어졌다.

앞서 제주에 사는 20대 여성 A 씨는 지난달 26일 도내 한 위탁의료기관에서 모더나 백신을 맞았고, 같은 달 31일 혈전증 증상으로 종합병원에서 수술을 받았으나 지난 7일 숨졌다. 백신 접종부터 사망까지 12일 밖에 걸리지 않았다.

10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제주도 방역당국은 A 씨에 대한 중증 이상반응 신고를 접수하고 백신접종 이상 반응인지 확인하기 위해 질병청에 혈소판감소성혈전증(TTS) 검사를 의뢰했다. TTS는 아스트라제네카(AZ)나 얀센 백신 접종 후 희귀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사례를 보면 주로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질병청은 모더나 백신 접종자는 TTS 검사 대상이 아니라며 이를 받아주지 않았다. 질병청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혈전증을 모더나 백신의 부작용으로는 인정하지 않는 점 등을 이유로 AZ나 얀센 백신 접종 후 관련 증상이 나타났을 때만 TTS 검사를 하고 있다. 구체적인 검사의뢰 기준은 ▲ 아데노벡터 백신(AZ·얀센) 접종 후 4∼28일 이내에 TTS 의심 증상 발생 ▲ 혈소판 수가 15만/㎕ 미만 ▲ 혈전 여부를 알아볼 수 있는 디-다이머(D-dimer) 검사 수치 상승 ▲ 영상검사 등으로 혈전이 확인된 경우 등이다.

제주도 당국은 A 씨가 백신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기준에 모두 부합해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미국에서 모더나 백신 접종 후 TTS가 발생했던 사례 등을 들어 질병청에 재차 검사를 의뢰했다.

그러나 질병청은 혈전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단이 검토한 결과 검사가 필요 없다고 판단했다면서 다시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병원 치료를 받던 A 씨는 지난 7일 숨졌다.

A 씨의 사망과 백신접종의 인과성 여부는 질병청에서 최종 평가하는데, 생전에 검사할 수 있었던 기회를 놓친 탓에 인과성 확인이 쉽지 않게 됐다.

특히 질병청은 앞서 모더나와 동일한 mRNA(메신저 리보핵산) 계열인 화이자 백신의 이상반응 사례에 대해 TTS 검사 검체를 접수한 바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은 대한의사협회도 인지했으며, 제주도는 자체 대응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경건 부산닷컴 기자 pressjk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