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3차 개방도 긍정 효과… ‘상시 개방’ 급물살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낙동강 하굿둑 완전 개방을 위한 3차 개방 모니터링에서도 낙동강 일대 염분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고, 생태 복원 효과는 상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잇단 개방 모니터링 실험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면서 낙동강 하굿둑 상시 개방이 한발 더 가까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4차 개방에서는 재첩 방류도 이뤄진다.

18일 부산시와 환경부, 해양수산부, 한국수자원공사 등은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 8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 약 1개월간 진행한 ‘낙동강 하굿둑 3차 개방운영 결과’를 공개했다.

상류 8㎞까지 유입, 염분 피해 없고
뱀장어·숭어 등 포획 ‘생태 소통 효과’
오늘부터 4차 개방 12㎞ 까지 모니터링
상시 개방·기수생태계 복원 범위 결정


3차 개방 시기는 홍수기(6월 21일~ 9월 20일)와 맞물려 하천 유량이 많은 편이어서, 바닷물 유입량이 적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 하지만 총 362만㎥의 바닷물이 유입됐고, 하굿둑 상류 8㎞ 부근까지 기수역(강물이 바닷물과 섞이는 곳)이 형성돼 홍수기 하굿둑 개방에 따른 효과와 예상 피해를 조사하는 데 문제는 없었다.

1·2차 개방 때와 마찬가지로, 3차 개방에서도 수문 개방에 따른 생태 소통 효과가 확인됐다. 하굿둑과 상류(3지점), 하류(2지점)에서 수문 개방 전후 어류를 조사한 결과 뱀장어, 숭어, 문절망둑, 점농어, 농어 등 다양한 회귀성 기수 어종이 포획됐다. 반면 하굿둑 수문개방으로 인한 인근 지하수의 유의미한 염분 변화는 없었다. 바다 측 염분도 하굿둑 개방보다는 강우와 하굿둑 방류량에 더 큰 영향을 받아 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부산시와 환경부 등은 하굿둑 4차 개방운영 계획도 밝혔다. 4차 개방은 이달 19일부터 11월 12일까지 진행되며 관련 기관들이 합동상황실을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다.

4차 개방 기간 기수역 범위는 상류 취수원과 서낙동강 주변의 농업에 영향이 없도록 하굿둑 상류 12㎞ 내외로 조절한다. 농업에 피해가 없도록 지하수위와 염분을 계속 관측하고, CCTV 관측과 생물종 채집 등을 통해 가을철 기수 생태계의 변화도 살펴볼 예정이다. 특히 회유성 어종인 연어가 바다에서 하천으로 이동하는 시기에 개방이 이뤄져 하굿둑 개방에 따른 연어의 이동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차 개방과 함께 낙동강 하구 대표 생물 종이었던 재첩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재첩 방류 사업도 시행된다.

환경부 박재현 물환경정책관은 “이번 3차 개방으로 홍수기 상황에서 낙동강 하구 기수환경 조성 경험을 축적했으며, 4차 개방을 통해 수문 운영방식을 최종 점검할 계획”이라며 “농어민, 시민단체, 전문가 등 하굿둑 개방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와 충분히 소통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도록 기수생태계 복원을 추진하고, 그 성과를 지역사회와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시, 환경부 등은 오해 4차례 개방 결과를 바탕으로 개방에 다른 염분 피해와 생태 복원 효과 등을 살핀 뒤 2022년 하굿둑 상시 개방 여부와 기수생태계 복원 범위를 결정할 예정이다. 4차 개방에서도 별다른 염분 피해가 없으면, 상시 개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