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시설에 더 절실한 자가검진키트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부가 재택 치료 중심으로 코로나19 방역 체계를 전환하면서 자가검사키트 구하기가 힘들어지자 부산 지역 장애인 시설에서 비상이 걸렸다. 마스크 착용이 힘들거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은 선별검사소나 보건소로 이동 자체가 쉽지 않은 데다, 검사를 받기 위해 가더라도 많은 사람이 몰린 장소에서 오랜 시간 대기하기 힘들어 자가검사키트가 절실하다. 이 때문에 부산시가 최근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자가검사키트 11만 개를 지원했듯이 장애인 시설에도 선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선별진료소 이동·대기 힘들어
어린이집처럼 선제 지원 필요

확진자와 동선이 겹친 ‘발달장애인과 세상걷기’ 이진섭 대표는 지난 5일 검사를 받기 위해 발달장애인인 아들과 함께 기장군청에 설치된 선별진료소를 찾았다. 수십 미터에 달하는 검사 대기 줄에 놀란 이 대표와 아들은 40여 분을 기다린 끝에 자가검사키트로 검사를 받을 수 있었다. 이 대표는 “일반인도 추위 속에서 선별진료소 긴 줄을 기다리기 쉽지 않은데 장애인들은 정말 힘들다. 지자체에서 자가검사키트를 공동으로 구매해 시설에 나눠주면 훨씬 효율적인데 지원이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자가검사키트는 개인이 자택 등에서 쉽고 빠르게 코로나19 양성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검사다. 정부가 코로나19 환자 폭증으로 재택 치료 중심의 방역 체계로 전환하면서 고령자나 밀접접촉자 등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으면 자가검사키트를 먼저 받고 양성이 나와야 기존의 PCR(유전자증폭)검사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약국이나 편의점 등에서 자가검사키트 품귀 현상이 빚어지고 있고 자가검사키트 검사(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선별진료소와 보건소, 호흡기전담클리닉 앞은 많은 시민들로 북적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200여 곳에 달하는 부산 지역 장애인 시설에도 어린이집과 유치원처럼 자가검사키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부산시는 지역 내 어린이집 1670곳, 유치원 380곳에 자가검사키트 11만 개를 지원했다. 장애인 시설은 크게 장애인이 거주하는 장애인생활시설과 일과 시간 동안 머무르는 장애인이용시설로 나뉜다. 부산 지역 장애인생활시설은 총 27곳으로 장애인 1100여 명이 머무르고, 직원 85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장애인이용시설은 장애인주간보호센터 67곳, 장애인직업재활시설 41곳,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23곳,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40곳 등 총 171곳이 있다.

조영아 부산장애인주간보호시설협회장은 “최근 자가검사키트 품귀 현상에 시설 자체적으로 자가검사키트를 구매하려 하지만 쉽지 않아 선제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kksh@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