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말 광] <952>콩깍지엔 콩이 없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진원 교열부장

‘난세에 바른 지식인으로 살기가 어렵구나(難作人間識字人·난작인간식자인).’

매천 황현의 절명시에 나오는 구절이다. 이걸 ‘우리말이 어렵다’는 사람이 하는 말로 바꾸면 ‘말을 바르게 쓰기가 참으로 어렵구나’쯤이 될까. 하지만, 이 어려움에도 해법은 있다. 우리말에 관심을 조금만 더 기울이고, 사전을 한 번만 더 찾아봐도 어려움은 곧장 반으로 줄일 수 있을 터. 게다가 쉬운 말을 쓰고, 글을 쓴 다음에 반드시 퇴고를 하면 더 좋은 글이 나온다.

‘나는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농촌으로 내려가 4000평에 이르는 땅을 임대해 콩을 심었다. 가을에 수확을 앞두고 콩깍지 안에 콩이 하나도 들지 않은 걸 확인하면서 좌절한 경험을 지금도 잊지 않고 있다.’

어느 책에서 본 구절인데, 잘못 쓴 말이 꽤 많아서 퇴고와 교열이 아쉽다. 우선 ‘땅을 임대해’는 ‘땅을 임차해’라야 했다. 임대는 빌려주는 것이고, 빌리는 것은 임차다. 물론 한자말보다 ‘땅을 빌려’면 더 좋았을 터. ‘만류에도 불구하고’는 ‘만류에도’만으로도 충분했다. 없애도 문맥에 지장이 없으면 없애는 게 좋은 글을 쓰는 지름길이다. ‘농촌으로 내려가’도 껄끄럽다. 은연중에 서울·수도권 중심주의가 드러나는 저런 말 대신 ‘농촌으로 가(서)’라면 좋지 않았을까.

하지만 가장 큰 실수는 바로 ‘콩깍지 안에 콩이 하나도 들지 않은’이라는 표현이다. 국립국어원에서 펴낸 (표준사전)을 보자.

*콩깍지: 콩을 털어 내고 남은 껍질.(방앗간 저편에 매어 놓은 소가 등에 덕석을 두른 채 콩깍지를 씹으며 멍하니 이쪽을 바라보고 있었다./십삼 년 만에 맡아 보는 굴뚝 냄새에 나는 불현듯 콩깍지와 메밀대를 군불아궁이에 때어 볼 수 있던 날이 그리웠다.)

즉, 콩깍지는 콩을 털어 낸 껍질이다. 그러니 콩깍지 안에 콩이 하나도 들지 않은 건 당연한 일. 단어를 잘못 선택하는 바람에 글이 우스워진 것이다. 그러면, 콩깍지 대신 무슨 말을 써야 했을까. 다시 표준사전을 보자.

*콩꼬투리: 콩알이 들어 있는 콩의 꼬투리.(콩꼬투리를 따다./아기가 콩꼬투리만 하다.)

이러니, ‘콩꼬투리 안에 콩이 하나도 들지 않은’이라야 했던 것. 아, 그리고, 저 위에 나온 ‘은연중에’도 사실은 옳은 표현이 아니다. 표준사전을 보자.

*은연중(隱然中): (흔히 ‘은연중에’ 꼴로 쓰여)남이 모르는 가운데.(은연중 겁을 집어먹다./그는 은연중에 자신의 속뜻을 내비치고 있었다….)

이처럼 ‘은연중’은 남이 모른다는 말인데, 저 자리에는 ‘자신도 모르게’가 어울리는 것. 그러니 ‘무심결에’ 정도가 와야 했다. jinwoni@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