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낙동강 원수 또 발암물질, 오염원 발본색원하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낙동강 원수에서 기준치 이하의 발암물질이 검출돼 시민의 염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2018년 경남 양산시 물금읍 물금취수장 앞 낙동강이 녹색으로 변해 있는 모습. 김경현 기자 view@ 낙동강 원수에서 기준치 이하의 발암물질이 검출돼 시민의 염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2018년 경남 양산시 물금읍 물금취수장 앞 낙동강이 녹색으로 변해 있는 모습. 김경현 기자 view@

낙동강 원수에서 발암 물질이 또다시 검출되면서 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부산일보〉 보도에 따르면 영남권 주 상수원인 물금·매리취수장 원수에서 발암물질인 과불화옥탄산(PFOA)과 1,4-다이옥산이 기준치 이하로 검출됐다고 한다. 지난 2월에는 대구 성서공단 폐수종말처리장에서 과불화옥탄산이 먹는 물 감시기준의 10배 이상이, 구미하수처리장에서는 1,4-다이옥산이 기준치의 배 가까이 검출된 것으로 밝혀졌다. 비록 고도정수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거나, 농도가 확연히 떨어졌다고는 하지만 “발암물질이 섞인 물을 믿고 마셔도 되나”라는 시민들의 염려는 점점 커지고 있다.


중앙정부 무능이 사태 악화 원인

윤석열 새 정부, 근본 대책 실행해야


실제로 발암물질이 낙동강에서 계속 검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프라이팬이나 일회용 음식 용기 코팅 등에 쓰이는 과불화옥탄산과 왁스부터 화장품까지 다양한 화학제품에 투입되는 다이옥산 등 발암물질은 대구 성서공단과 구미 일원 공장에서 다량 배출된 뒤 하류로 내려오면서 점차 희석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처럼 겨울 가뭄으로 강수량이 적을 경우 낙동강 중·상류 유해물질의 농도가 짙어지면서, 암을 유발할 수 있고 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해물질이 하류 지역 상수원에까지 유입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낙동강을 생명줄로 의지하는 영남권 주민 입장으로는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1991년 낙동강 페놀오염사고에 따른 임산부 자연유산·임신중절 등 엄청난 사회적 파문이 아직도 가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사고 발생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낙동강 중·상류 일대 산업단지에 들어선 약 2만 개에 달하는 기업이 흘려보내는 화학물질은 실태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지난 20년간 낙동강 일대 산단 수가 배 이상 늘어난 상황에서 유사 사고 위험성은 오히려 커졌다. 부산시는 부랴부랴 환경부에 낙동강 상류의 오염물질 배출 업소에 대한 추적 조사와 오염물질 차단 조치, 환경기초시설의 방류수 배출 기준 마련 등을 요청했지만 백년하청일 뿐이다.

매번 판박이처럼 터져 나오는 낙동강 오염 사고에 주민들의 고통은 형용하기 어렵다. 이런 중·상류의 공단 밀집 환경에서는 페놀오염 등과 유사한 사태는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강에 위협은 물론이고, 수돗물과 국가 행정에 대한 불신은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언제까지 이런 물을 식수로 사용해야 한단 말인가. 계속되는 낙동강 오염 사태는 대책이 없거나 원인을 몰라서가 아니다. 중앙정부가 무능하거나, 비수도권 주민의 식수 해결에 대한 의지가 없기 때문이다. 윤석열 새 정부는 “안전하게 마실 물을 달라”는 영남권 주민의 요구를 진심으로 들어야 한다. 취임 즉시 오염원 발본색원과 취수원 다변화, 물이용부담금 제도 개선 등 특단의 낙동강 수질 대책을 당장 실행에 옮겨야 한다. 낙동강 수돗물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울 때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