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돋보기] 신정부 출범과 금융시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우형우 NH투자증권 부산금융1센터 팀장

오는 10일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다. 경제 정책은 집권 여당의 정치 성향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신성장 동력 확보에 있어서는 공통된 방향성을 가진다. 그렇다고 해서 새 정부 출범이 코스피 수익률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패턴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기존 정부와 정책 기조가 달라지는 분야에 대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가치 재평가)’, 경기 부양적 재정정책에 따른 내수소비 수혜는 기대해 봄직하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전 정부와 정책기조가 달라지는 분야(내수소비, 건설, 원전)의 수혜가 예상되며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경제 발전방향과 연관되는 IT, 모빌리티, 바이오헬스, 이동통신, 우주항공, 로봇, 블록체인, 메타버스 분야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이야기한다.

신사업뿐만 아니라 제도 정책기조의 변화 중 하나인 자본시장제도 관련 이슈도 확인해야한다. 주식양도세 폐지, 주주보호 정책, 불법 공매도 근절 등 제도 관련 내용도 이전 정부와의 차별점을 두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와 기대감에 앞서 대외적인 리스크도 살펴봐야 할 것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이 시장경제를 흔들고 있다. 국내만 하더라도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62개월 만에 최고치인 4.8%까지 치솟았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는 과거 이라크 전쟁처럼 어느 한쪽이 압도적 우위를 가지기 어려운 상황이라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강한 긴축 정책과 최근 재부상하는 중국발 공급망 이슈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대외적인 리스크의 공통적인 문제는 ‘물가’다. 시장 금리는 이미 상당히 반영돼 있기는 하지만 2% 이상의 기준금리를 이야기하는 전문가들이 많아지고 있다. 게다가 규제 완화적인 정책 기조로,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금리로 강하게 컨트롤할 가능성이 크다고 봐야한다.

신정부 기대감을 주식시장 전반으로 가져가기보다는 신정부 정책이 이전 정부에 비해 어떻게 다르며 어떤 기회요인이 있을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항상 시장은 기대감과 위기가 공존한다. 그럴싸한 이유를 만들어 네거티브를 조장하는 세력이 존재하고 이런 흑백논리에 열광하는 군중이 있다. 하지만 금융시장은 훨씬 더 복잡하다. 조금 더 냉정하게 시장을 바라봐야할 시기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