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컴퓨터가 실내공기 오염시킨다?…과열된 컴퓨터서 대기오염물질 배출 확인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컴퓨터 부품에 포함된 PAHs가 휘발 배출…“환기·온도 유지 필요”

[그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최성득 교수팀이 사무실·전산실·서버실의 실내공기, 컴퓨터 내부 공기, 컴퓨터 부품(회로보드·피복전선·트랜지스터)을 분석한 결과, 컴퓨터에서도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했다. UNIST 제공 [그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최성득 교수팀이 사무실·전산실·서버실의 실내공기, 컴퓨터 내부 공기, 컴퓨터 부품(회로보드·피복전선·트랜지스터)을 분석한 결과, 컴퓨터에서도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했다. UNIST 제공

UNIST 최성득 교수(맨왼쪽) 연구팀. UNIST 제공 UNIST 최성득 교수(맨왼쪽) 연구팀. UNIST 제공

공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과열된 컴퓨터에서도 배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도시환경공학과 최성득 교수 연구팀은 컴퓨터에서 유해 대기오염물질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가 나와 실내 공기를 오염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컴퓨터 부품에 불순물로 포함된 PAHs가 컴퓨터가 과열되면서 휘발돼 나온다고 분석했다.

PAHs는 여러 개의 벤젠고리가 융합된 대표적인 유해 대기오염물질로, 주로 화석연료의 불완전 연소 과정에서 대기로 배출된다. 석유와 석유화학제품에도 PAHs가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새집증후군을 연구하던 중 전산실의 PAHs 농도가 다른 실내 공간과 비교해 2∼4배 정도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번 연구에 착수했다.

실내 공기와 컴퓨터 내부 공기를 채취해 PAHs 농도를 분석한 결과 실내 공간 크기가 작고 컴퓨터가 많을수록 PAHs 농도가 높았다. 특히 사용 기간이 짧은 컴퓨터일수록 많은 양의 PAHs를 배출했는데, 이는 입주 초기에 실내에서 냄새가 많이 나는 새집증후군과 유사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컴퓨터 부품에서 PAHs를 직접 추출한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컴퓨터 부품에서 PAHs가 검출됐다. 회로 기판과 전선 피복 등의 부품을 밀폐 용기에 담은 뒤 60도로 가열한 실험에서도 가열 시간이 길수록 PAHs 농도가 높게 나왔다.

이번 연구로 기존 통념과 달리 실내에서도 전자제품에 의해 PAHs에 노출될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돼, 다양한 실내공기 오염원을 찾고 그 위해성을 분석하는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됐다는 설명이다.

최성득 교수는 "컴퓨터 외에도 여러 전자제품에서 PAHs가 배출될 가능성이 크며, 실제로 레이저 프린터에서 PAHs가 배출된다는 해외 사례 보고도 있다"며 "밀폐된 공간에서는 PAHs를 비롯한 다양한 유해 대기오염물질에 많이 노출될 수 있으니 환기를 자주 하고 적정 실내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구팀은 컴퓨터 부품의 성분 등을 추가로 분석해 정확한 오염원을 찾고, 중장기적인 건강 위해도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건설환경 분야 권위 있는 학술지인 '건축물과 환경'(Building and Environment) 6월호에 발표됐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