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MZ세대 일자리 정책, 섬세한 접근 나와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의 MZ세대 대부분이 부산에 살고 싶지만, 임금 때문에 떠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사실은 지역 MZ세대 구직자 200명과 지역 기업 150개 사를 대상으로 한 부산상공회의소의 ‘부산 MZ세대 구직자와 기업의 일자리 인식 조사’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한 기업 중 74.7%가 MZ세대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 중 12.6%는 아예 채용이 불가능하다고 답변했다. 반면 MZ세대 10명 중 8명(77.5%)은 부산에서의 취업을 희망했다. 결국 MZ세대 채용을 희망하는 지역 중소기업과 부산에서 일하고 싶어 하는 MZ세대의 현실과 기대 간의 격차가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봉 3000만 원으로 끌어올려야
청년·기업 모이는 도시 조성 절실

‘일자리 미스매치’의 가장 큰 원인은 ‘임금’으로 분석됐다. MZ세대는 ‘취업 결정 시 가장 크게 고려하는 요인’으로 임금 수준(35.5%)을 1위로 꼽았다. 하지만, 이들의 기대 임금과 부산 기업이 지급하는 임금 격차는 약 400만 원(신입 초임 연봉 기준)이었다. 간단하게 말하면, 월급 33만 원만 더 줄 수만 있다면 청년 역외 이탈을 막을 수 있다는 결론이다. 보고서에서는 단기적으로 연봉 2600만 원 미만 기업의 임금을 평균 연봉 3000만 원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장기적으로는 MZ세대 취향에 맞는 기업 문화와 환경을 조성하면 ‘부산에 살고 싶지만 떠날 수밖에 없는 MZ세대’를 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노인과 바다, 부산’이라는 오명이 하루이틀 일은 아니지만, 일자리 미스매치에 의한 ‘청년 탈부산’ 추세를 막지 못하면 부산의 미래는 없다. 실제로 최근 10년 사이 부산에서만 20만 명이 넘는 청년이 다른 도시로 빠져나갔다. 부산시의 ‘부산 인구 정책 브리핑’에 따르면 부산을 떠난 청년들이 꼽은 원인 중 70%가 일자리인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이 싫어서’가 아니라, ‘일자리가 없어서’ 고향을 떠나는 것이다. 청년층이 감소하면 결혼과 출산 숫자도 줄어들고, 도시 경쟁력과 활력이 떨어지는 악순환에 빠진다. 기업으로서도 훌륭한 인재를 구할 수 없으면 혁신은 물론이고, 생존조차 불가능하다.

부산시와 중앙정부는 ‘청년이 살고 싶은 부산을 만들겠다’는 플래카드만 내걸 것이 아니라, 지역의 우수 인재들을 떠나보내지 않도록 근본 대책을 세심하게 마련해야 한다. 마침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부산을 청년과 기업이 모이는 도시로 키우겠다”라고 약속했고, 같은 국민의힘 소속 박형준 부산시장도 6·1지방선거에서 “지산학 협력으로 매년 디지털 인재를 2000명씩 키우고, 제대로 된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한국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공공기관의 조속한 이전과 산업구조 개편, 대기업 유치 등으로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도 방법이다. 돈 33만 원에 청년이 고향을 떠나는 부끄러운 현실이 반복되지 않도록 과감한 대책이 필요하다. 청년들의 떠들썩함이 없는 도시는 희망이 없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