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생활 쓰레기’ 소각 시설 처리 용량 초과 ‘어쩌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경남 양산에서 생활 쓰레기 발생량이 지난해부터 자원회수시설의 처리 용량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돼 비상이 걸렸다. 쓰레기를 소각·처리하는 시설이 노후화되면서 하루 처리 용량이 애초보다 20% 정도 감소했지만, 인구 증가로 반입되는 쓰레기는 큰 폭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양산시 자원회수시설의 내구연한(20년)이 6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신규 시설 건설에 통상 적게는 7년 많게는 10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자칫 쓰레기 대란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시설 노후화로 하루 처리 용량
당초보다 20% 정도 줄여
반면 인구 증가로 쓰레기 급증
기존 시설 내구연한도 6년 남아
자칫 ‘쓰레기 대란’ 우려까지
시설 증설 등 ‘빠른 결정’ 절실

28일 양산시 등에 따르면 시는 하루 최대 처리 용량 100t 규모의 소각로 2기를 갖춘 자원회수시설을 신도시 내에 건설해 2008년부터 14년째 가동 중이다. 이 시설은 국내 최초로 17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쓰레기를 소각하는 열분해 용융방식으로, 연소 후 나오는 다이옥신 제로화와 잔여 물질을 100% 재활용하는 쓰레기 매립 제로화 등으로 건설 초기부터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시설 노후화로 2018년 하루 최대 처리 용량은 100t에서 80t으로 20t이 줄어들었고, 안전하고 원활한 운영을 위해 70% 안팎에서 가동하다 보니 실제 처리 용량은 소각로당 60t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반면 시설에 반입되는 하루 쓰레기량은 지난해 130t을 넘어선 뒤 올해 140t에 달하면서 시설 처리 용량을 초과했다. 시는 지난해부터 초과한 쓰레기 중 소각이 가능한 쓰레기는 민간 소각로에 위탁 처리하고, 소각이 불가능한 쓰레기는 인근 유산매립장에 매립해 처리하고 있다.

앞으로 양산 사송신도시(3만 7000명 규모) 입주가 완료되고, 웅상출장소 4개 동 내 미니신도시(1만 명 규모)와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7300명 규모) 조성 등이 끝나면 쓰레기 발생량 역시 급증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기존 시설을 증설하거나 시설 신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시설 증설을 할 경우 인구 50만 명을 목표로 175t 규모의 증설이 필요하지만, 기존 시설 부지가 좁아 증설 자체가 쉽지 않다. 350t 규모 시설을 신설하면 입지 선정에서 가동까지 통상 7~10년가량 소요되지만, 기존 시설의 내구연한이 2028년까지로 6년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이른 정책 결정이 절실하다.

그러나 증설이나 신설을 추진하면 기존 시설의 사용이 불가피한데, 이 시설의 연간 운영비 200억 원 외에 시설 개선에 1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추가로 투입돼야 한다. 자원회수시설 건설 당시 소각으로 인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최신 공법을 도입했지만, 고열을 이용하는 시설이다 보니 기존 소각로(스토커 방식)에 비해 시설 노후화가 빨라 10여 년이 지나 애물단지로 전락한 것이다.

양산시 관계자는 “2030년까지 매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 쓰레기 대란 발생은 없다”면서도 “자원회수시설의 내구연한이 다가오고 있어 이른 시일 내에 증설 또는 신설을 결정한 뒤 행정절차에 착수하지 않으면 2030년 이후 쓰레기 처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글·사진=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