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냉각기 접어드니 주택청약저축 인기도 ‘썰렁’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7월 가입자 수 6월보다 1만 명 감소
수도권·5대 광역시 일제 감소 처음
유주택자 사실상 당첨 기회 없고
연 1.8% 낮은 금리 탓 해지 증가

7월 주택 청약 가입자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 22일 서울 시내 한 은행에 주택청약종합저축 관련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7월 주택 청약 가입자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 22일 서울 시내 한 은행에 주택청약종합저축 관련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7월 말 기준 전국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숫자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 부동산시장이 냉각기에 접어들었고 전국 상당수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유주택자들은 사실상 당첨기회가 없는데다 통장의 금리가 매우 낮은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22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7월 말 전국 주택청약종합저축 전체 가입자 수는 2701만 9253명으로, 6월(2703만 1911명)보다 1만 2658명이 감소했다. 2009년 주택청약종합저축이 출시된 이후 월별 가입자 수가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부동산원은 가입자를 △서울 △인천·경기 △5대광역시(부산 울산 대구 광주 대전) △기타지역으로 나눠 통계를 제공하고 있는데, 6월과 7월에 서울은 625만 1306명에서 624만 4035명으로 줄었고 5대 광역시 역시 530만 9908명에서 530만 5175명으로 감소했다. 서울과 5대 광역시의 가입자 수는 두 달 연속 줄었는데 5대 광역시 가입자 감소폭은 1422명, 4733명으로 커졌다. 인천·경기 지역도 줄었다.



반면 기타지역(8개 도 지방 및 세종)만 이 기간 가입자 수가 665만 323명에서 665만 3306명으로 조금 늘어났다.

그동안 아파트 청약 인기 지역으로 꼽힌 수도권과 5대 광역시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가 일제히 줄어든 것은 해당 지역에서 통장 해지가 많이 일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도권과 광역시 통장이 1순위 당첨 확률을 높이기 위해 기타지역으로 이전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청약통장은 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등 4가지가 있는데 현재 신규가입이 가능한 통장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이다. 이 때문에 나머지 3개 통장은 신규가입이 안되면서 가입자가 매월 조금씩 빠지고 있다.

6월과 비교해 보면 7월 청약저축은 39만 6163명에서 39만 4542명으로 줄었다. 청약부금은 16만 2852명에서 6만 2314명으로, 청약예금은 100만 8353명에서 100만 5062명으로 가입자가 줄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청약통장 가입자는 이미 경제활동 인구에 비해 충분히 많은 수준이라 지난해 초부터 증가세가 둔화되기 시작했다”면서 “전국 단위로 가입자 수가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와 가격 하락으로 청약 시장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이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통장 해지 배경에는 낮은 금리도 자리한다. 주택청약종합저축 금리는 연 1.8%로, 2016년 8월부터 6년째 같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최근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시중은행에서는 연 3%대의 정기예금 상품도 나오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주택청약종합저축 금리는 기준금리인 연 2.25%보다도 한참 낮다.

김혜신 솔렉스마케팅 부산경남지사 대표는 “시장이 안 좋다보니 청약통장을 유지할 이유가 별로 없어지고 있고 게다가 금리도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부산같은 경우에는 오랜 기간 동안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가 유지되면서 유주택자들은 사실상 당첨 기회가 없기 때문에 해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진훈 국토교통부 주택기금과장은 “가입자를 통해 조성된 107조 원 가량의 기금은 디딤돌·버팀목 대출과 같은 정책자금대출에 쓰인다”라며 “청약통장은 재테크 수단이라기보다는 청약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1인당 잔고가 평균 400만 원도 안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반 예·적금 통장과 단순 비교해서는 안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낮은 금리에 대해 “연말까지 디딤돌·버팀목 대출 금리를 동결하기로 한 상황에서 청약통장 금리를 올리면 기금에 큰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금리 인상 가능성을 일축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