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태풍 '힌남노' 6일 오전 9시 부산 상륙…여전히 사라·매미보다 세다

박정미 부산닷컴 기자 like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기상청 홈페이지에 올라온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이동경로. 기상청 홈페이지에 올라온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이동경로.

기상청이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6일 오전 9시 부산 남서쪽 70㎞ 부근으로 상륙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상청은 3일 오전 10시 이같이 밝히며 상륙 시점 '힌남노'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각각 950헥토파스칼(hPa)과 43m/s일 것으로 추정했다. 상륙 시점 태풍의 강도는 '강' 상태이다. 태풍은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강한 것인데 지금 예상대로라면 힌남노는 국내에 상륙했던 태풍 중 가장 강했던 1959년 '사라(951.5헥토파스칼(hPa)·부산)'와 두 번째로 강했던 2003년 '매미(954헥토파스칼(hPa)·통영)'를 넘어서는 수준에서 상륙하겠다.

3일 오전 9시 현재 힌남노의 위치는 대만 타이베이 남동쪽 390km 부근 해상이다. 4일 오후 9시께에는 '초강력' 상태로 발달해 대만 타이베이 북동쪽 약 310km까지 이동한다.

힌남노는 5일 오전 9시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480㎞ 해상에 이른 뒤 계속 북서진해 하루 뒤 부산에 상륙하겠다.

일본·중국·미국·홍콩·대만 기상당국도 기상청과 비슷하게 힌남노 경로를 예상하고 있다.

다만 홍콩기상청 예상경로는 한국 기상청 예상경로보다 서쪽에 치우쳐 제주를 관통한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3일 오전 10시를 기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태풍·호우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이날 오전 10시 태풍 힌남노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해 태풍대비 중점관리사항을 전파하고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총력대응을 지시했다.

아울러 행안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태풍 선제적 대응조치 지시에 따라 중대본 1단계를 가동하고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박정미 부산닷컴 기자 like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