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끊겼다고 시에서 손 놓아선 안 돼” 벼랑 끝 ‘동백전’ 살길은?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시의회 동백전 활성화 토론
외부자본 유입 등 회생방안 제안

9월 한 달간 더블이벤트 진행하는 동백전. 김종진 기자 9월 한 달간 더블이벤트 진행하는 동백전. 김종진 기자

국비 삭감으로 벼랑 끝에 몰린 ‘동백전’을 살리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운영 방안 개편 등 자구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이 19일 공동으로 부산시의회에서 동백전 활성화 토론회를 개최했다.


위기에 처한 동백전의 회생 방안으로 찾기 위해 마련된 이 자리에서 인천시 변영환 e음운영팀장은 인천의 지역화폐인 e음 현황과 개편안 등을 소개했다.

인천시는 연매출이 3억 원 이하인 영세 가맹점에서는 10%, 기타 가맹점에서는 5%로 캐시백 요율을 차등화하고, 이들로부터 자발적인 1~5%의 인센티브를 받아 시민에게 돌려주는 개편안을 마련해 내달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국비가 사라진 상황에서 한정된 시 예산으로 최대한의 효율을 뽑아낼 수 있도록 운용의 묘를 발휘하는 셈이다.변 팀장은 “지역화폐 사업은 활성화되면 될수록 예산을 많이 투입해야 하고 중앙정부의 도움이 절대적인 사업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시에서도 손을 놓을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시민정책공방 송지현 지역순환경제센터장은 “부산시의 부실한 지역화폐 운영이 동백전의 위기를 자초했다”고 비판했다. 경기도와 인천시, 대전시 등 타 시·도는 광역-기초 지자체 간 지역화폐 중층구조를 구현해 국비를 고르게 나눠 썼지만 부산시가 3년간 이를 무시했다는 것. 국비 예산이 삭감되어 광역·기초 지자체가 머리를 맞대야 하는 상황이 오자 이 같은 운영이 더 아프게 다가온다는 게 송 센터장의 분석이다.

이 자리에서는 동백전의 지역 가맹점 확대와 부산의 관광자원을 활용한 외부자본 유입안 등 다양한 회생 방안이 제안됐다. 참석자들은 동백전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데에 뜻을 모았다.

부산경실련 도한영 사무처장은 “지역화폐의 취지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자본의 역외 유출 방지인데, 이제 와서 ‘왜 국비를 한정된 지역에서만 사용했느냐’고 하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전국 경실련이 정치권과 협의해 지역화폐 예산을 살리기 위해 공동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