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동반 이주율 67%·지역인재 채용 35%… 자리 잡아 가는 혁신도시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산업연구원 ‘혁신도시 보고서’

인구는 목표 대비 87% 달해
부산은 이미 목표치 넘어서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이전이 종료된 지 3년이 경과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가 가시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문현혁신도시 전경. 부산일보DB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이전이 종료된 지 3년이 경과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가 가시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문현혁신도시 전경. 부산일보DB
산업연구원 제공 산업연구원 제공

혁신도시로 공공기관을 이전한 지 3년만에 지역 인구가 늘고 기업을 유치해 고용률이 높아지는 등 긍정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혁신도시 성과와 향후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혁신도시 전체 주민등록인구는 목표 대비 87.1%까지 늘었고,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률은 제주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3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는 지방으로 공공기관을 이전해 기업·대학·연구소와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여건과 높은 수준의 주거·교육·문화 등 정주환경을 갖춘 미래형 도시를 말한다. 현재까지 전국 11개 광역시·도에 원주, 김천, 대구 동구, 진주, 전주·완주, 나주 등 10개 혁신도시가 조성됐다.

혁신도시별 주민등록인구 변화 추이 및 정부의 목표치(2019년~2030년). 자료: 국토교통부. 산업연구원 제공 혁신도시별 주민등록인구 변화 추이 및 정부의 목표치(2019년~2030년). 자료: 국토교통부. 산업연구원 제공

최근 5년 간 혁신도시의 연도별 입주 기업 누적 증가 추이. 자료: 국토교통부 및 내부자료. 산업연구원 제공 최근 5년 간 혁신도시의 연도별 입주 기업 누적 증가 추이. 자료: 국토교통부 및 내부자료. 산업연구원 제공

올해 6월 기준 혁신도시 전체의 주민등록인구는 23만 2632명으로 최근 5년간 5만 8000여 명 늘었다. 이런 추세라면 2030년 이전에 당초 목표 인구인 26만 7000명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족 동반 이주율은 2017년 58.1%에서 올해 6월 67.7%까지 상승했고, 공동주택 등 핵심 정주시설 공급량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혁신도시별로 보면, 10개 혁신도시 모두 높은 인구 증가세를 보였으며, 특히 소규모로 조성된 부산인 인구 목표치를 이미 넘어섰고, 경남과 광주·전남은 2019년 말 이후 2년 반 동안 5000명 이상 높은 인구 증가를 달성했다.

또한 지난해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은 신규 채용 직원 중 35.2%를 지역인재로 채용해 목표치(27%)를 초과 달성했다.

혁신도시 입주 기업 수는 2016년 249개에서 작년 12월 2047개까지 늘어 최근 5년간 연평균 360개씩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혁신도시별로 살펴보면 경남이 509개사로 가장 많았고 이어 광주·전남(447개사), 전북(235개사), 부산(176개사), 제주(157개사) 등의 순이었다. 다만 강원, 충북, 경북 지역 3개 혁신도시는 100개 미만의 기업이 입주하는 데 그쳐 추가적인 기업 유치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각 혁신도시가 전체 혁신도시에서 차지하는 입주 기업 수 비중과 종사자 수 비중을 구해 도시한 결과, 성과가 양호한 A그룹은 경남, 광주·전남, 부산, 대구, 전북 등 5개 혁신도시였고, 성과가 다소 미흡한 B그룹은 나머지 5개 혁신도시로 양분되고 있다.

혁신도시 내 고용 규모(종사자 수)는 작년 말 기준 1만 9215명으로, 광주·전남(3804명), 경남(3376명), 대구(3231명), 부산(3054명) 등 4개 혁신도시에 각각 3000명 이상 고용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신 내 기업당 평균 종사자 수는 9.4명으로 비교적 적은 편이고, 고용(종사자 수) 규모가 30명 이상인 기업은 전체의 5.5%인 105개사이며, 특히 300명 이상인 기업은 5개사(부산 3개사, 경남 1개사, 광주·전남 1개 사) 에 불과했다.

특히 작년 말 기준 부산혁신도시 내 176개 입주 기업 가운데 종사자 수 300인 이상은 3개사, 30~299인은 2개사 였고, 나머지 171개사가 30인 미만이었다.

산업연구원은 개별 공공기관 단위로 지방 이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 특성이 유사한 공공기관을 동반 이전해 클러스터화를 추진해야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성과가 부진한 강원, 충북, 경북 지역은 우선적으로 정주여건 개선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이나 입주 기업이 각 지자체가 육성하려는 대표 산업과의 연관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하며 산학연 추가 유치를 통해 클러스터 형성에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