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웅상출장소 관할 행정타운 예정지, 실시계획인가 폐지 고시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늦어도 2024년 내 조성 완료

양산시는 올해 8월 18일 비즈니스센터 4층에서 행정타운 조성사업 부지재검토 위원회를 열어 현 명동 1004의 2일대 행정타운 예정지를 명동 1018일대로 전격 변경했다. 양산시 제공 양산시는 올해 8월 18일 비즈니스센터 4층에서 행정타운 조성사업 부지재검토 위원회를 열어 현 명동 1004의 2일대 행정타운 예정지를 명동 1018일대로 전격 변경했다. 양산시 제공

웅상출장소 4개 동을 관할하는 행정관서가 들어설 행정타운 예정지를 전격 변경(부산일보 8월 22일 자 11면 보도)한 경남 양산시가 기존 행정타운 예정지에 대한 실시계획인가 폐지를 고시했다.

양산시는 지난달 27일 자로 명동 1004의 2 일대 2만 6320㎡ 부지에 조성하기로 한 ‘도시계획시설사업 행정타운(동부소방서 등) 부지조성공사 실시계획인가 폐지’를 고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시가 행정타운 조성을 위해 실시계획 인가 승인을 고시한 지 21개월, 나동연 양산시장 당선직 인수위원회가 행정타운 건립지 변경을 포함해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한 지 5개월 만이다.

시는 또 연말까지 명동 1018일대 2만㎡ 규모의 새로운 행정타운 부지에 대한 시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 심의와 함께 도시관리계획(신설과 폐지) 결정을 위한 관련 용역을 발주하기로 하는 등 행정절차도 진행 중이다.

시는 내년 중에 도시관리계획 결정이 완료되면 토지 보상과 함께 공사에 들어가 늦어도 2024년 중에 행정타운 조성을 완료할 방침이다.


양산시 시장직 인수위원회가 올해 6월 명동 행정타운 조성 예정지를 찾아 담당공무원으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양산시 제공 양산시 시장직 인수위원회가 올해 6월 명동 행정타운 조성 예정지를 찾아 담당공무원으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양산시 제공

앞서 시는 올해 말까지 175억 원을 들여 명동 1004의 2 일대에 행정타운을 조성하기로 하고 2020년 9월 시의회로부터 ‘공유재산관리 계획안’을 승인받았다. 당시 시는 10월 행정타운 조성을 위한 실시설계 용역과 함께 지난해 3월 토지 보상에 들어가기로 했다. 또 올해 1월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 연말에 완료하는 일정이었다.

그러나 실시설계 과정에서 행정타운 예정지 내 송전탑 이설 문제에다 산을 깎는 대규모 토목공사 등으로 인해 사업비가 늘어나고 공사 기간도 2년 7개월가량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이곳에 들어설 가칭 동부경찰서와 소방서 건립에 차질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후 올 6월 지방선거에서 나동연 시장이 당선되고, 같은 달 시장직 인수위원회가 행정타운 예정지를 둘러본 뒤 건립지 변경을 포함해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시는 나 시장 취임 후 ‘부지재검토위원회’를 구성해 용역에 들어갔고, 8월 행정타운 예정지 전격 변경과 함께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양산시는 올해 9월 30일 시청 상황실에서 나동연 시장과 한상철 양산경찰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동부행정타운부지 예정지에 동부경찰서를 건립하겠다는 MOU를 체결했다. 양산시 제공 양산시는 올해 9월 30일 시청 상황실에서 나동연 시장과 한상철 양산경찰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동부행정타운부지 예정지에 동부경찰서를 건립하겠다는 MOU를 체결했다. 양산시 제공

시는 또 올해 9월 말 나동연 시장과 한상철 양산경찰서장이 변경된 행정타운 예정지에 동부경찰서를 건립하겠다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에는 양산경찰서가 변경된 행정타운 부지조성사업을 추진하는 데 동의하고, 공공청사 부지를 요청하기로 했다.

양산경찰서는 행정타운 부지 조성사업 추진에 맞춰 동부경찰서 건립에 필요한 부지 1만㎡를 매입하고, 이른 개소를 위해 시의 사업추진 일정에 맞춰 건축물 건립에 따른 행정절차 집행에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올해 8월 가칭 동부행정타운 예정지 변경에 따른 후속 조치로 실시계획인가 폐지를 고시한 것”이라며 “앞으로 변경된 행정타운 부지에 대한 도시관리계획 결정을 위한 용역 발주 등의 조치도 이뤄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