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가 태평양 수온구조에 미치는 영향 규명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UNIST 강사라 교수팀, 기후모델 통해 태평양 수온구조 변화 기전 규명
열대기후변화 저감의 핵심 요소로 남극해 지목…‘Science Advances’ 게재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연구진의 모습. 왼쪽부터 포스텍(POSTECH) 신예철 연구원, UNIST 강사라 교수. UNIST 제공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연구진의 모습. 왼쪽부터 포스텍(POSTECH) 신예철 연구원, UNIST 강사라 교수. UNIST 제공
그림. 남극해-태평양 수온구조의 상관성. 그림 A는 지구온난화 시나리오에서 남극해와 지표온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다양한 기후모델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남극해의 온도가 차가울수록 파란지역이 차갑게, 빨간지역이 따뜻하게 나온다. 그림 B는 남극해와 열대태평양의 수직운동의 상관관계이다. 남극해의 온도가 차가울수록 파란지역에는 상승기류가 강해지고 빨간지역에는 하강기류가 강해진다. 검은 실선은 현재기후에서 하강기류, 점선은 상승기류를 뜻한다. UNIST 제공 그림. 남극해-태평양 수온구조의 상관성. 그림 A는 지구온난화 시나리오에서 남극해와 지표온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다양한 기후모델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남극해의 온도가 차가울수록 파란지역이 차갑게, 빨간지역이 따뜻하게 나온다. 그림 B는 남극해와 열대태평양의 수직운동의 상관관계이다. 남극해의 온도가 차가울수록 파란지역에는 상승기류가 강해지고 빨간지역에는 하강기류가 강해진다. 검은 실선은 현재기후에서 하강기류, 점선은 상승기류를 뜻한다. UNIST 제공

많은 과학자들이 전 지구적으로 가뭄 혹은 홍수 같은 자연재해의 이유를 ‘라니냐’ 현상 때문이라고 지목했다. 열대 태평양의 수온구조가 고기압과 저기압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면서 달라진 공기의 흐름이 전 지구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처럼 전 지구의 기후를 결정하는 열대 태평양의 수온구조에 대한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돼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도시환경과학과 강사라 교수와 포항공대,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코넬대, 듀크대 공동 연구팀은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라 기후변화의 다양한 요소들이 태평양 수온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또한 분석 과정에서 태평양의 수온구조가 고위도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여러 연구를 통해 태평양 수온구조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기작들이 제시됐고, 실례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고위도 해빙의 감소는 열대 동태평양 수온을 더 많이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지구에서는 해빙 감소 외에도 해양 순환의 변화, 온실효과 등 다양한 요소의 작용으로 태평양 수온구조 변화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었다.

강사라 교수팀은 수온구조 변화에 대한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지구의 기후를 재현하는 기후시스템모델을 활용했다. 먼저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지구의 기후변화를 모의한 후, 해빙 면적 감소 및 해양순환의 변화 등 태평양 수온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파악했다. 이를 기후모형에 각각 적용해 기후변화의 요소가 태평양 수온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구분했다.

이를 통해 태평양 수온구조는 열대 해양의 지역적인 변화만큼이나 고위도의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확인했다. 특히 북극과 남극의 해빙 감소는 열대 동태평양을 따뜻하게 하는 반면, 남극의 해양 순환은 열대 동태평양을 차갑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확인됐다.

제 1 저자인 강사라 교수는 “열대 태평양의 기후변화가 남극해의 해양 순환이나 해빙 감소와 같은 고위도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은 기후변화 대응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복잡한 기후시스템의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방법을 제시했으며, 태평양 외에도 지역적인 기후시스템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가 주목을 받는 또 다른 이유는 현재 기후모델이 관측되는 태평양 수온구조를 모의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는 전 지구에 상대적으로 균등하게 증가하지만, 지난 반세기 동안 동태평양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서태평양의 온도는 증가했다. 하지만 기존 기후모형은 동서의 수온편차를 균등하게 모의하고 있다. 열대 태평양의 수온구조가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라 지구의 평균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태평양 수온구조의 실제 관측과 모델의 정보 편차는 기후전망의 신뢰성을 훼손 가능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공동교신저자로 참여한 포스텍 신예철 연구원은 “기후변화는 현재 진행 중이고 태평양의 수온구조와 고위도 기후는 지금도 상호작용하고 있을 것”이라며 “본 연구는 남극해로 유입되는 담수 변화와 같이 모형에 반영되지 못한 남극 기후변화의 요인들이 관측과 모형의 수온구조 편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벤스(Science Advances)’에 지난 11일자로 공개됐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