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을 해외 직구 허브로 만들어 부가가치 창출”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연구원 정책 보고서 제안
해상특송 부산항 1%대 불과
글로벌 상거래 기업 유치 필요

부산항 제1부두. 세계유산등재추진단 제공 부산항 제1부두. 세계유산등재추진단 제공

부산항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물류 허브를 구축해 해외직구 등 물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정책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산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최근 펴낸 ‘부산의 국경 간 전자상거래 물류 클러스터 구축 방안’ 정책 연구 보고서에 이 같은 내용을 담았다.

연구원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소비와 해외 직접 구매(직구)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상특송 물량은 급격하게 성장했으나, 관련 인프라와 제도가 미비해 부산의 물량 확보는 매우 낮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부산항의 부가가치를 높이려면 단기적으로는 전자상거래 물류허브의 기반을 구축하는 정책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전자상거래 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 물량을 유치하기 위해 중국 신규 항로를 개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부산은 인천항, 평택항에 이어 국내 3번째로 2020년 7월 동남권을 대표하는 해상특송장을 설치하고 2021년부터 본격 운영하고 있다. 해상특송장은 선박으로 들어오는 해외직구 전자상거래 물품 등 특송화물 전용 통관장으로, 컨테이너 화물 등과 달리 복잡한 통관을 빠르게 통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주로 해외직구 상품이 특송화물을 통해 오간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해외 직구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상특송 물량은 늘어나고 있으나, 부산의 물량 확보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낮은 상황이다. 해상특송 통관장 처리 물량은 평택항은 56%, 인천항은 43%에 달하지만 부산항은 1%수준이다. 부산항 해상특송 통관장을 개장한 이후 이용실적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원하면서 물동량이 다소 증가했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부산의 전자상거래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자상거래 특성화 단지 구축과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 전자상거래 기업의 유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와 더불어 쿠팡, 마켓컬리 등 국내 전자상거래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에 따르면 아마존은 2019년 기준 센터 1곳당 평균 2000~2500명 규모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또한 부산 신항 등 항만배후단지에 세계적 전자상거래 업체의 글로벌 물류센터(GDC)를 유치해서 전자상거래 물류 허브의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대형가전, 가구 등 부피가 큰 제품 구매가 증가함에 따라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의 물류망을 통해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부산항 해상특송 통관장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해상특송 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 노선 신규 항로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부산항에는 중국 카페리 노선이 없다. 부산연구원 측은 “부산-닝보 간 카페리 신규항로를 개설할 경우 타 운송수단과 비교했을 때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으며 부산을 비롯한 영남권 수요에 대한 공급 안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